객관적인 공천 기준 있어야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5-09-11 18:59:29
    • 카카오톡 보내기
    고 하 승 편집국장
    {ILINK:1} 내년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 각 서울시당 관계자들은 시민일보 정치·행정부 기자들을 찾는 일이 부쩍 많아졌다.

    각 구 구청장 출마예상자들이나 서울시의원 출마예상자들 및 구의원 출마예상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듣고 싶은 마음 때문일 것이다.

    차기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치르는 지방선거인 만큼 대선 전초전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여야 모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 그러자면 자신들의 정당 후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필수적이다.

    그 정보를 듣기 위해 기자들을 찾는 것이다.
    사실 전국지 기자들은 지방지 기자들만큼 후보 개개인에 대해 상세하게 알 수가 없다. 전국지 기자들이 서울지역의 지방선거 관련 기사를 작성할 때에 시민일보 기자들에게 자문을 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 지역 주간지의 경우는 지역정치와 지나치게 밀착되어 있거나 적대적이어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게 각 시당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따라서 시민일보가 가장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각 시당이 갖고 있는 정보와 시민일보의 정보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물론 대체로 각 시당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와 시민일보가 파악하고 있는 정보가 서로 일치한다.

    하지만 몇몇 출마 예상자들의 경우, 각 시당과 시민일보가 전혀 상반된 정보를 갖고 있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시당에서는 모 구청장 출마예상자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우리가 파악한 정보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 가하면, 반대로 시당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지만 우리의 정보망에는 형편없는 인물로 낙인찍힌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서로 상반된 견해를 보일 때, 결과적으로 시민일보의 정보가 더 정확한 것으로 판명된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각 시당은 이런 저런 인연으로 인해 객관성을 유지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는 자유롭다. 더구나 기자는 여(與)도 야(野)도 아니다. 특히 기자는 객관적인 안목을 갖도록 철저하게 훈련된 직업인이다. 따라서 가장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여야 어느 정당이든 승리하자면, 후보 개개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정확하게 내릴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단지 중앙당, 혹은 시당의 누구와 인연이 있다는 이유 등 만으로 자질이 떨어지는 인물을 공천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말이다.
    특히 특정 정당의 공천만 받으면, 비록 후보의 자질이 떨어지더라도 무조건 당선된다는 잘못된 인식은 하루 빨리 버려야 할 것이다.

    유권자들의 의식은 이미 상당 수준에 이르렀는데, 정당의 의식이 그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처럼 불행한 일이 또 어디 있겠는가. 따라서 여야 각 정당은 객관적이고도 공정한 공천기준을 마련하는 일에 전력을 투구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