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정계개편은 사실상 시작됐다.
다만 구체적으로 그 실체가 드러나는 시기가 언제냐 하는 문제만 남았을 뿐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열린우리당 유인태 정치개혁특위 위원장과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도 동의하고 있다.
유인태 의원은 지난 21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선거구제가 바뀔 경우 “여당의원들 가운데 많은 수가 당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여당의원들 중에는 당의 지역성향을 보고 들어온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명박 서울시장이나 손학규 경기도지사는 박근혜 대표 체제가 굳어졌다고 판단되면 당 경선에 뛰어들지 않고 독자적으로 당을 만들거나 다른 세력과 합종연횡을 해 보수세력이 분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소속 의원 모두 자신이 속한 정당의 분열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정치권 여기저기서 지형 재편을 예고하는 바람이 불고 있다.
우선 신중식 의원이 지난 21일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점이 그렇다. 집권당을 떠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정계개편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는 선뜻 선택하기 어려운 일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자민련의 차세대 주자로 손꼽히던 정우택 전 의원이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DJ 정권 시절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던 그는 신중한 저울질 끝에 열린우리당과 중부권 신당의 영입 제의를 뿌리쳤다고 한다.
물론 이들의 움직임을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다.
하지만 신 의원은 고 건 전 총리의 대권 후보 옹립을 위해 진력할 것임을 선언했다. 고 전 총리를 매개로 호남(민주당)과 충청(중부권 신당)의 지역 연합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는 의사표현인 셈이다.
이것이 현실화 될 경우,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도 어떤 형태로든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그 변화는 유인태 의원이나 안상수 의원의 말처럼 바로 당이 깨지는 현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의원들 대부분은 지역구도 때문에 생존이 안 되니까 어쩔 수 없이 한 울타리 내에서 동거하고 있을 뿐이다. 이혼을 하고 싶은데, 현실적인 문제로 할 수가 없다. 그러니 매일 집안싸움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그리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 이전이나 직후에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한나라당 탈당파로 구성된 새로운 신당, 여기에 민주당과 중부권 신당이 결합한 또 다른 신당, 열린우리당 잔존파와 재야인사들이 결합한 당, 한나라당 잔존파와 극우세력이 결합한 당 등이 서로 자웅을 겨루는 형국을 띠게 될 것이란 말이다.
어쩌면 노선차로 당내에서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는 민주노동당도 NL계열당과 PD계열당으로 분화될지 모르겠다.
다만 구체적으로 그 실체가 드러나는 시기가 언제냐 하는 문제만 남았을 뿐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열린우리당 유인태 정치개혁특위 위원장과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도 동의하고 있다.
유인태 의원은 지난 21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선거구제가 바뀔 경우 “여당의원들 가운데 많은 수가 당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여당의원들 중에는 당의 지역성향을 보고 들어온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 한나라당 안상수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명박 서울시장이나 손학규 경기도지사는 박근혜 대표 체제가 굳어졌다고 판단되면 당 경선에 뛰어들지 않고 독자적으로 당을 만들거나 다른 세력과 합종연횡을 해 보수세력이 분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소속 의원 모두 자신이 속한 정당의 분열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정치권 여기저기서 지형 재편을 예고하는 바람이 불고 있다.
우선 신중식 의원이 지난 21일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점이 그렇다. 집권당을 떠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정계개편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는 선뜻 선택하기 어려운 일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자민련의 차세대 주자로 손꼽히던 정우택 전 의원이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DJ 정권 시절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던 그는 신중한 저울질 끝에 열린우리당과 중부권 신당의 영입 제의를 뿌리쳤다고 한다.
물론 이들의 움직임을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다.
하지만 신 의원은 고 건 전 총리의 대권 후보 옹립을 위해 진력할 것임을 선언했다. 고 전 총리를 매개로 호남(민주당)과 충청(중부권 신당)의 지역 연합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는 의사표현인 셈이다.
이것이 현실화 될 경우,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도 어떤 형태로든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그 변화는 유인태 의원이나 안상수 의원의 말처럼 바로 당이 깨지는 현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 의원들 대부분은 지역구도 때문에 생존이 안 되니까 어쩔 수 없이 한 울타리 내에서 동거하고 있을 뿐이다. 이혼을 하고 싶은데, 현실적인 문제로 할 수가 없다. 그러니 매일 집안싸움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그리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 이전이나 직후에 열린우리당 탈당파와 한나라당 탈당파로 구성된 새로운 신당, 여기에 민주당과 중부권 신당이 결합한 또 다른 신당, 열린우리당 잔존파와 재야인사들이 결합한 당, 한나라당 잔존파와 극우세력이 결합한 당 등이 서로 자웅을 겨루는 형국을 띠게 될 것이란 말이다.
어쩌면 노선차로 당내에서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는 민주노동당도 NL계열당과 PD계열당으로 분화될지 모르겠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