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열린우리당내 갈등이 밖에서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한 것 같다.
수도권 지역구 출신 모 의원의 보좌관 모씨는 최근 시민일보 정치부장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탄핵 정국이 이제 와서 열린우리당에게 자충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우리당이 깨지는) 정계개편은 불가피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정계개편 시기에 대해 10.26 재선거의 참패로는 명분이 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지방선거 이후부터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는 것이다.
또 DJ 정부시절 청와대에서 일했던 열린우리당 소속의 한 원외 인사는 한마디로 “지쳤다”면서 “차라리 당이 깨지는 한이 있더라도 정계개편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솔직하게 고민의 일단을 털어놓았다고 한다.
물론 이들의 생각이 아직은 열린우리당내 주류는 아닐 것이다. 여전히 열린우리당에서는 ‘개혁’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뭔가 한번 해보자는 의욕을 가진 사람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의 현재 모습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이들의 고민이 비록 아직은 소수라 하더라도 결코 가볍게 여길 수만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도 당내 유력한 차기대권주자가 한나라당 유력한 차기대권주자들에 비해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여당의 대권주자로 꼽히는 이해찬 국무총리와 정동영 통일부장관,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의 경쟁력은 야당후보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게다가 이들의 지지도는 좀처럼 반등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오죽하면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3명 중 1명이 ‘열린우리당에 마땅한 대통령감이 없다’고 지적했겠는가.
반면 ‘청계천’ 특수를 누리고 있는 이명박 서울시장과 박근혜 대표는 상당히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현재 무소속인 고 건 전 총리와 한나라당 대권후보를 조합한 3자 가상대결에서도 여권후보들이 모두 완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큰 문제는 여권 일부에서 이에 대해 꾸준히 문제제기가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뚜렷한 대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과거 한나라당이 두 번의 대선 패배로 인해 무력감에 빠져 있던 것보다 더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
한 재야 인사는 이 같은 상황을 미리 간파하고 최근 필자와 만난 사석에서 “고 건 전 총리와 민주당+국민중심당+열린우리당 절반이 합류하는 대권창출 당이 탄생할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
그렇다면 정말 열린우리당발(發) 정계개편은 불가피한 것일까?
그 해답의 열쇠는 여권이 쥐고 있다. 이대로 계속 죽을 쑨다면, 여권발 정계개편은 피할 수 없다. 분명한 변화가 따라야 한다는 말이다.
조기전당대회를 개최하든지, 아니면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이 서로 만나 어느 한쪽에 힘을 실어주는 방향으로 담판을 짓든지 뭔가 액션이 따르지 않으면,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수도권 지역구 출신 모 의원의 보좌관 모씨는 최근 시민일보 정치부장과 만난 자리에서 “지난 탄핵 정국이 이제 와서 열린우리당에게 자충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우리당이 깨지는) 정계개편은 불가피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정계개편 시기에 대해 10.26 재선거의 참패로는 명분이 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지방선거 이후부터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는 것이다.
또 DJ 정부시절 청와대에서 일했던 열린우리당 소속의 한 원외 인사는 한마디로 “지쳤다”면서 “차라리 당이 깨지는 한이 있더라도 정계개편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솔직하게 고민의 일단을 털어놓았다고 한다.
물론 이들의 생각이 아직은 열린우리당내 주류는 아닐 것이다. 여전히 열린우리당에서는 ‘개혁’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뭔가 한번 해보자는 의욕을 가진 사람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의 현재 모습을 면밀히 들여다보면, 이들의 고민이 비록 아직은 소수라 하더라도 결코 가볍게 여길 수만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도 당내 유력한 차기대권주자가 한나라당 유력한 차기대권주자들에 비해 경쟁력에서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여당의 대권주자로 꼽히는 이해찬 국무총리와 정동영 통일부장관,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의 경쟁력은 야당후보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게다가 이들의 지지도는 좀처럼 반등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오죽하면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3명 중 1명이 ‘열린우리당에 마땅한 대통령감이 없다’고 지적했겠는가.
반면 ‘청계천’ 특수를 누리고 있는 이명박 서울시장과 박근혜 대표는 상당히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현재 무소속인 고 건 전 총리와 한나라당 대권후보를 조합한 3자 가상대결에서도 여권후보들이 모두 완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큰 문제는 여권 일부에서 이에 대해 꾸준히 문제제기가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뚜렷한 대안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과거 한나라당이 두 번의 대선 패배로 인해 무력감에 빠져 있던 것보다 더 심각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
한 재야 인사는 이 같은 상황을 미리 간파하고 최근 필자와 만난 사석에서 “고 건 전 총리와 민주당+국민중심당+열린우리당 절반이 합류하는 대권창출 당이 탄생할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
그렇다면 정말 열린우리당발(發) 정계개편은 불가피한 것일까?
그 해답의 열쇠는 여권이 쥐고 있다. 이대로 계속 죽을 쑨다면, 여권발 정계개편은 피할 수 없다. 분명한 변화가 따라야 한다는 말이다.
조기전당대회를 개최하든지, 아니면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이 서로 만나 어느 한쪽에 힘을 실어주는 방향으로 담판을 짓든지 뭔가 액션이 따르지 않으면,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