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유시민 카드’를 들고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이 그 카드를 버려야 할지, 아니면 그대로 들고 있어야 할지 깊은 고민에 빠졌다.
거기에는 아주 복잡한 당내 사정이 얽혀 있다.
우선 열린우리당 내에 ‘민주개혁세력 통합론’ 주장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전통적 지지층 결집에 노력하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강력한 ‘메시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시민 의원 등 ‘참여정치실천연구회’는 여전히 민주당과의 통합논의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과의 통합을 운운하는 것은 지역주의로 회귀하자는 것이자 ‘도로 민주당’이 되자는 주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참정연 측 한 의원은 “민주당과 합당하게 된다면 우리는 당을 같이 하기 어렵다”면서 분당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당 내에선 통합론이 대세를 이뤄 가고 있다.
실제 참정연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당내 세력이 DJ의 발언으로 촉발된 ‘민주개혁세력 통합론’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형국이다.
경기도당 위원장 김현미 의원 같은 경우는 통합논의에 제동을 거는 참정연을 겨냥, “다른 것은 어떻게 돼도 정당개혁만 성공하면 된다는 분들이 있는데, 그런 정당개혁은 다른 데 가서 하라”고 쏘아붙였다.
유시민 의원 등 참정연계의 탈당을 촉구하는 뉘앙스가 강한 발언이다. 물론 그런다고 해서 그대로 물러설 참정연이 아니다.
유시민 의원도 말로는 “내가 나가서 당이 평화로워진다면 나갈 수도 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그럴 기미를 보이기는커녕 오히려 내년 2월 전당대회에서 반전을 모색하겠다며 잔뜩 벼르고 있다.
노골적으로 기간당원제 사수, 정당 개혁 추진을 ‘이슈’로 내걸고 통합론자들과 일대 결전을 벌이겠다는 태세다.
이와 관련 참정연 측의 김형주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는 당 의장이 누가 되고 상임중앙위원이 누가 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며 “민주당과의 합당론이나 당헌당규 변경 기획에 방어막을 치고 우리당 창당 정신을 환기시키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참정연은 당의장이나 상임중앙위원회에 자신의 계파를 진출시키는 것보다 민주당과의 합당론에 방어막을 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의 빅매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이번 전대에서 참정연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고자 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참정연이 바라볼 수 있는 연대 대상자는 김 장관이다. 김 장관 역시 현 상태로는 참정연의 지원 없이 승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유시민 의원 등과 손을 잡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그러나 통합론에 반기를 든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참정연과 손을 잡는 것이 오히려 김 장관에게 독(毒)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그의 고민이 깊어가는 것이다.
거기에는 아주 복잡한 당내 사정이 얽혀 있다.
우선 열린우리당 내에 ‘민주개혁세력 통합론’ 주장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전통적 지지층 결집에 노력하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강력한 ‘메시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시민 의원 등 ‘참여정치실천연구회’는 여전히 민주당과의 통합논의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과의 통합을 운운하는 것은 지역주의로 회귀하자는 것이자 ‘도로 민주당’이 되자는 주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참정연 측 한 의원은 “민주당과 합당하게 된다면 우리는 당을 같이 하기 어렵다”면서 분당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 우리당 내에선 통합론이 대세를 이뤄 가고 있다.
실제 참정연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당내 세력이 DJ의 발언으로 촉발된 ‘민주개혁세력 통합론’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형국이다.
경기도당 위원장 김현미 의원 같은 경우는 통합논의에 제동을 거는 참정연을 겨냥, “다른 것은 어떻게 돼도 정당개혁만 성공하면 된다는 분들이 있는데, 그런 정당개혁은 다른 데 가서 하라”고 쏘아붙였다.
유시민 의원 등 참정연계의 탈당을 촉구하는 뉘앙스가 강한 발언이다. 물론 그런다고 해서 그대로 물러설 참정연이 아니다.
유시민 의원도 말로는 “내가 나가서 당이 평화로워진다면 나갈 수도 있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그럴 기미를 보이기는커녕 오히려 내년 2월 전당대회에서 반전을 모색하겠다며 잔뜩 벼르고 있다.
노골적으로 기간당원제 사수, 정당 개혁 추진을 ‘이슈’로 내걸고 통합론자들과 일대 결전을 벌이겠다는 태세다.
이와 관련 참정연 측의 김형주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는 당 의장이 누가 되고 상임중앙위원이 누가 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다”며 “민주당과의 합당론이나 당헌당규 변경 기획에 방어막을 치고 우리당 창당 정신을 환기시키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라면 참정연은 당의장이나 상임중앙위원회에 자신의 계파를 진출시키는 것보다 민주당과의 합당론에 방어막을 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의 빅매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이번 전대에서 참정연은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고자 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참정연이 바라볼 수 있는 연대 대상자는 김 장관이다. 김 장관 역시 현 상태로는 참정연의 지원 없이 승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어서 유시민 의원 등과 손을 잡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그러나 통합론에 반기를 든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참정연과 손을 잡는 것이 오히려 김 장관에게 독(毒)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그의 고민이 깊어가는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