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戌年, 정치권 변화 바란다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5-12-29 20:16:02
    • 카카오톡 보내기
    {ILINK:1} 열린우리당 당원 모집 과정에서 소문으로 나돌던 ‘종이당원 당비대납’ 사실이 검찰에 의해 그 실체가 밝혀졌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예정인 예비후보와 선거운동원 등이 당비대납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고 결국 구속기소 됐다고 한다.

    대전지검 공안부는 지난 28일 공직선거와 선거부정방지법 위반 혐의로 유모씨 등 열린우리당 예비후보자와 선거운동원 3명을 구속 기소했다고 발표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해 7월 26일 자신의 사무실 등에서 박 모씨등 97명의 입당원서를 대신 받아 당에 제출 한 뒤 이들의 1~9개월간의 당비 150여만원을 인터넷 뱅킹을 통해 대신 내 준 혐의다.

    어디 대전만 이런 것일까. 이 같은 현상은 전국적으로 대동소이할 것이다.

    실제 지난해 7월 2만5000여명에 불과했던 우리당 당원 규모는 지난 2월 당원협의회장 선거를 전후 23만5000여명으로 늘었다.

    이어 3∼4월 재·보선 후보 경선과 전대를 마친 뒤 14만8000명 수준으로 빠졌다가 내년 지방선거 공직 후보자 당내 경선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입당 마감일인 8월 말 50여만명으로 급증했다.

    우리당은 당헌 당규상 선거권을 가지려면 6개월 이상 당비를 내야 하는 규정이 있다.
    이에 따라 올해 5.31 지방선거 출마자들은 작년 8월말까지 자신을 지지해 줄 당원을 경쟁적으로 입당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당원이 열 배 정도 폭증해 ‘종이당원 당비대납설’이 꾸준히 나돌았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필자는 ‘기간·책임당원제는 사기극’이라는 칼럼을 쓸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로 인해 기간당원이라는 독자들부터 호되게 당했으나 ‘사기극’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그래서 최근에 필자는 ‘그래도 기간당원제는 사기극’이라는 칼럼을 다시 섰고 결국 그 정체가 만천하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

    물론 앞서 칼럼에서 밝혔듯이 이름만 빌려주는 이른바 ‘종이당원’이라는 점에서는 한나라당의 책임당원제도 별반 다를 바 없다.

    실제로 경남지역 책임당원은 현재 6만1000명으로 작년 4월의 60배 이상으로 느는 등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원 수가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기초의원 등이 고발되거나 수사 의뢰됐다는 소리까지 들린다.

    그렇다면 왜 우리당과 한나라당은 기간당원제와 책임당원제라는 사기극을 아직까지도 중지하지 않고 있는 것일까?

    만에 하나 국민들을 속일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면, 그것은 큰 오산이다.

    모쪼록 2006년 병술년(丙戌年)만큼은 정직한 정치권의 모습을 보고 싶다. 국민에게 솔직한 정치, 국민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정치, 갈등과 분열을 지양하고 화합과 통합을 모색하는 그런 정치를 기대한다는 말이다.

    새해의 해가 새롭게 희망을 안고 떠오를 수 있도록 정치권의 변화를 기대하는 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