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과거에 대한 심판이자, 미래에 대한 선택이라고 했다. 5.31 지방선거에서 심판받은 집권당은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여 반성하고 국민의 뜻을 따라야 하며, 미래를 선택받은 야당은 경제와 안보를 비롯한 민생문제 처리를 책임지고 주도해 나가야 한다.
5.31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크게 승리했다. 이번 선거결과는 노무현 정권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자 국민적 봉기다. 노무현 정권은 이번 선거결과로 인해 사실상 그 기능을 상실했다. 노무현 대통령 임기 중에는 여당의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야당입장에서 봐도 두렵고, 무서운 상황이 벌어졌다.
한나라당은 노무현 정권이 정상적인 임기를 마칠 수 있도록 연착륙을 도와야 한다.
노무현 정권이 만에 하나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경착륙을 하게 되면 결국 국가와 국민은 물론이고 한나라당도 큰 어려움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냉엄한 정치현실이 그러하듯 여당에 참여했던 의원들 다수가 이 정권과의 차별화를 위해 아마 더 적극적으로 이를 요구할지도 모른다.
하물며 개혁을 가장한 새로운 좌파성향의 급진정책은 더 이상 발을 붙이지 못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노무현 정권은 존재 이유와 가치를 잃게 될 것이고, “대통령 못해먹겠다”, “재신임 국민투표하겠다”고 말해왔던 대통령은 어느 날 갑자기 개헌이나 정치개혁을 전제로 한 하야 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버릴지 모른다. 이것이 바로 우려했던 노무현 정권의 경착륙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인위적인 헌정 중단 사태는 없어야 한다.
한나라당이 앞장서서 이를 막아야 한다. 정권교체는 정상적인 선거를 통해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한나라당은 지금부터 전열을 가다듬고 야당이면서 집권당 못지않게 국정을 책임지고 주도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당정회의가 불가능한 노무현 정권에 야정회의를 제안하고, 정책대안 제시와 법안이나 예산안처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런데 대통령 선거가 1년6개월이나 남은 지금 벌써 대권논쟁이 불붙는 이상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수권정당인 한나라당이 적어도 1년 정도는 책임을 지고 민생과 경제문제에 전념해 주는 것이다.
민생·경제·안보 등 나라 전체가 혼란스러울 때, 한나라당이 팔을 걷어붙이고 일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게 해서 민심을 얻고 정권교체를 이룩해야 한다. 한나라당은 새로 구성될 지도부와 함께 민심을 얻기 위한 올바른 국정운영에 전념해야 한다.
이제 새롭게 구성될 당 지도부는 정권 창출의 중차대한 임무를 띠게 되는 만큼 특별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새 지도부는 특히 구색과 조화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중진이 있다면 소장파도 있어야 하고, 여성과 지역에 대한 배려도 있어야 한다. 개혁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안정추구세력도 있어야 한다. 이제 새롭게 구성되는 지도부는 단합과 화합을 최우선으로 당의 결속과 응집력을 강화하면서 정권교체에 앞장서야 한다. 지금 한나라당은 좀 더 침착하고 그리고 좀 더 책임감 있게 치열하게 국민 속으로 다가가야 할 때이다.
위 글은 시민일보 6월 12일자 오피니언 5면에 게재됩니다.
5.31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크게 승리했다. 이번 선거결과는 노무현 정권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자 국민적 봉기다. 노무현 정권은 이번 선거결과로 인해 사실상 그 기능을 상실했다. 노무현 대통령 임기 중에는 여당의 복구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야당입장에서 봐도 두렵고, 무서운 상황이 벌어졌다.
한나라당은 노무현 정권이 정상적인 임기를 마칠 수 있도록 연착륙을 도와야 한다.
노무현 정권이 만에 하나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경착륙을 하게 되면 결국 국가와 국민은 물론이고 한나라당도 큰 어려움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냉엄한 정치현실이 그러하듯 여당에 참여했던 의원들 다수가 이 정권과의 차별화를 위해 아마 더 적극적으로 이를 요구할지도 모른다.
하물며 개혁을 가장한 새로운 좌파성향의 급진정책은 더 이상 발을 붙이지 못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노무현 정권은 존재 이유와 가치를 잃게 될 것이고, “대통령 못해먹겠다”, “재신임 국민투표하겠다”고 말해왔던 대통령은 어느 날 갑자기 개헌이나 정치개혁을 전제로 한 하야 일정을 구체적으로 밝혀버릴지 모른다. 이것이 바로 우려했던 노무현 정권의 경착륙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인위적인 헌정 중단 사태는 없어야 한다.
한나라당이 앞장서서 이를 막아야 한다. 정권교체는 정상적인 선거를 통해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한나라당은 지금부터 전열을 가다듬고 야당이면서 집권당 못지않게 국정을 책임지고 주도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당정회의가 불가능한 노무현 정권에 야정회의를 제안하고, 정책대안 제시와 법안이나 예산안처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런데 대통령 선거가 1년6개월이나 남은 지금 벌써 대권논쟁이 불붙는 이상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수권정당인 한나라당이 적어도 1년 정도는 책임을 지고 민생과 경제문제에 전념해 주는 것이다.
민생·경제·안보 등 나라 전체가 혼란스러울 때, 한나라당이 팔을 걷어붙이고 일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그렇게 해서 민심을 얻고 정권교체를 이룩해야 한다. 한나라당은 새로 구성될 지도부와 함께 민심을 얻기 위한 올바른 국정운영에 전념해야 한다.
이제 새롭게 구성될 당 지도부는 정권 창출의 중차대한 임무를 띠게 되는 만큼 특별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새 지도부는 특히 구색과 조화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중진이 있다면 소장파도 있어야 하고, 여성과 지역에 대한 배려도 있어야 한다. 개혁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안정추구세력도 있어야 한다. 이제 새롭게 구성되는 지도부는 단합과 화합을 최우선으로 당의 결속과 응집력을 강화하면서 정권교체에 앞장서야 한다. 지금 한나라당은 좀 더 침착하고 그리고 좀 더 책임감 있게 치열하게 국민 속으로 다가가야 할 때이다.
위 글은 시민일보 6월 12일자 오피니언 5면에 게재됩니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