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직 최고위원은 누구?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6-07-13 19:25:49
    • 카카오톡 보내기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당선 이후 “지역 연령 이념의 균형을 맞추는 탕평 인사로 당을 화합 시킬 것”이라는 점을 몇 번이나 강조했다. 강 대표가 허튼소리를 할 사람은 아니다. 따라서 그는 자신이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지금 무척 고심하고 있을 것이다.

    그가 약속을 이행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지명직 최고위원을 적절하게 분배해야만 한다.

    그렇다면 지명직 최고위원은 누구에게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한가.

    이 문제를 논하기에 앞서 강 대표가 말한 것처럼 우선 지역 균형이 필요하다.

    현재 ‘영남당’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한나라당에서 또 대표가 영남권에서 탄생했다. 더구나 4명의 최고위원 가운데 한 사람인 정형근 의원마저 영남권이다. 원내대표마저 부산출신의 김형오 의원이 차지했다.

    반면 영남권보다 인구 면에서 몇 배나 많은 수도권에서는 강재섭 당대표와 경쟁을 벌이던 이재오 의원 한 사람만이 최고위원에 들었을 뿐이다.

    ‘미래모임’ 단일후보로 ‘태풍의 눈’이 될 것이란 전망 아래 화려하게 스포트라이트를 받던 서울 지역구의 권영세 의원과 경기도 지역구의 이규택 의원은 탈락하고 말았다.

    인구수가 수도권 지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충청권에서조차 강창희 전 의원이 최고위원에 당선된 것에 비하면 너무나 초라한 성적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내년 대통령선거에서 탄력을 받으려면 수도권 지역의 지지가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그러자면 수도권 지역에 있는 당내 인사들에게 힘을 실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2명의 지명직 최고위원 가운데 최소한 한 사람은 수도권 지역에서 나와야 할 것이란 판단이다.

    그 대상으로는 서울시장 후보경선에서 오세훈 시장에게 분패한 맹형규 전 의원이나 홍준표 의원을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경기도지사 경선에서 패배한 김영선 의원도 고려해 볼만 하다. 특히 그는 7.11 전대 직전 24일간 당대표의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해 내지 않았는가.

    물론 서울시당 위원장인 박 진 의원과 경기도당 위원장인 홍문종 위원장도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특히 박 의원의 경우는 이른바 ‘오풍’에 의해 서울시장 경선 중도에 물러서야 했다는 점을 고려해 ‘배려’할 수도 있지 않겠는가.
    나머지 한 자리는 ‘영남당’ 이미지를 희석시키기 위해서라도 호남권 몫으로 남겨두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대 당시 강 대표를 비롯, 이번에 최고위원에 선출된 모두가 한나라당 최대 정치적 취약지인 ‘호남배려’를 말하지 않았는가. 당시 한 후보는 “호남지역에서 당원이 된다는 것은 독립투쟁보다 더 어려운 일”이라고 치켜세우기까지 했다.

    그렇다면 호남권 출신 가운데 한 사람을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