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발사 시험으로 그렇잖아도 대북 강경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혁명열사릉 참배 논란으로 보수 진영의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북을 방문한 노동계 인사 일부가 평양 대성산에 있는 혁명열사릉을 참관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우리 사회의 친북화 경향을 우려하며 대북 화해협력정책의 맹점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남북대결의 시대에는 반국가단체에 적극 동조 찬양하는 행위였을지 몰라도 평양 방문이 일상화되고 있는 지금 북한의 정치기념물과 체제상징물을 관람하는 것은 이제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예의 차원으로 해석될 만도 하다.
지금 정부가 방북시 관람을 금지하고 있는 장소는 김일성 주석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 기념궁전과 대성산 혁명열사릉 정도이다. 북측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행위로 해석될 만한 정치적 상징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허용되고 있는 북측의 기념물과 관람지를 보면 사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북한체제의 정당성과 체제선전이 짙게 배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가 된다면 대한민국을 부인하고 북측의 정통성에 손을 드는 명백한 정치행위로서 북측 장소를 방문한 의도성에서 찾아야지 북측의 정치적 상징물에 가서는 안된다는 식의 금기는 현실에서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사실 정부 대표단이 타국을 방문할 때는 그 나라의 기념지와 상징물을 방문하는 것이 관례이다. 2000년 올브라이트 미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첫번째 공식일정이 금수산 기념궁전을 참배한 것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였다.
현실을 감안해볼때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인정의 차원에서 열린 자세를 고려해볼만 하다. 다만 이 결정은 우리의 대북 요구와 연계하는 전략적 마인드가 필요하다.
북이 제기하고 있는 이른바 ‘근본문제’의 제1순위가 바로 참관지 제한 철폐 문제이다.
현실적으로 북한의 근본문제 제기를 모르쇠로 일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남북관계의 진전과 상호 정치적 신뢰를 위해 이제 새로 제기된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를 해야 한다.
오히려 상호 내정불간섭 문제나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등을 우리의 ‘대북 근본문제’로 의제화하고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계기로 삼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이미 북은 현충원 참배와 5.18 묘지 등을 참관한 바가 있거니와 북의 이같은 행동이 결코 북한 체제를 부인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우리 정부가 북한의 체제상징물에 참관한다고 해서 그것이 곧 대한민국을 부인하는 것이 아님은 오히려 자명한 일이다. 국립 현충원을 참관하는 것과 대성산 혁명열사릉에 참관하는 행위는 결코 상대체제에 대한 충성맹세가 아니며 단지 화해협력을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는 열린 자세의 하나일 뿐이다.
그러나 남북대결의 시대에는 반국가단체에 적극 동조 찬양하는 행위였을지 몰라도 평양 방문이 일상화되고 있는 지금 북한의 정치기념물과 체제상징물을 관람하는 것은 이제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예의 차원으로 해석될 만도 하다.
지금 정부가 방북시 관람을 금지하고 있는 장소는 김일성 주석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 기념궁전과 대성산 혁명열사릉 정도이다. 북측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행위로 해석될 만한 정치적 상징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허용되고 있는 북측의 기념물과 관람지를 보면 사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북한체제의 정당성과 체제선전이 짙게 배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제가 된다면 대한민국을 부인하고 북측의 정통성에 손을 드는 명백한 정치행위로서 북측 장소를 방문한 의도성에서 찾아야지 북측의 정치적 상징물에 가서는 안된다는 식의 금기는 현실에서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사실 정부 대표단이 타국을 방문할 때는 그 나라의 기념지와 상징물을 방문하는 것이 관례이다. 2000년 올브라이트 미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첫번째 공식일정이 금수산 기념궁전을 참배한 것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였다.
현실을 감안해볼때 상대방에 대한 예의와 인정의 차원에서 열린 자세를 고려해볼만 하다. 다만 이 결정은 우리의 대북 요구와 연계하는 전략적 마인드가 필요하다.
북이 제기하고 있는 이른바 ‘근본문제’의 제1순위가 바로 참관지 제한 철폐 문제이다.
현실적으로 북한의 근본문제 제기를 모르쇠로 일관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남북관계의 진전과 상호 정치적 신뢰를 위해 이제 새로 제기된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를 해야 한다.
오히려 상호 내정불간섭 문제나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등을 우리의 ‘대북 근본문제’로 의제화하고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계기로 삼는 적극성이 필요하다.
이미 북은 현충원 참배와 5.18 묘지 등을 참관한 바가 있거니와 북의 이같은 행동이 결코 북한 체제를 부인하고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우리 정부가 북한의 체제상징물에 참관한다고 해서 그것이 곧 대한민국을 부인하는 것이 아님은 오히려 자명한 일이다. 국립 현충원을 참관하는 것과 대성산 혁명열사릉에 참관하는 행위는 결코 상대체제에 대한 충성맹세가 아니며 단지 화해협력을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는 열린 자세의 하나일 뿐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