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필자는 최근 본란을 통해 “한나라당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논의하기에 앞서 ‘인기인’을 선출하는 것인지, 아니면 정당 정책을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대통령 후보를 뽑는 것인지를 분명하게 정립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한나라당이 100% 완전국민경선제인 이른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여부를 둘러싸고 내홍을 겪는 것을 보다 못해 던진 충고였다.
이에 대해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27일 아주 분명하고도 명쾌하게 답변을 해줬다.
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나라포럼’의 특강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아무나 시장바닥에서 찍으라는 거냐?”고 반문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어쩌고 하는 것은 열린우리당에 말리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의 이같은 판단은 옳다.
그런데도 여전히 당내에서는 비주류와 소장파 등이 공공연하게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당 밖에서는 친 한나라당 세력인 뉴라이트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의 필요성을 적극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지난 대선에서 두 번이나 패배한 것은 ‘현실안주’했기 때문”이라며, “당이 변해야 한다”는 점을 들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은 변화해야 한다. 하지만 그 변화를 추구하는 한 방식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자는 데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뚜렷한 대권주자가 부각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불가피하게 ‘극약처방’을 할 수밖에 없다. 그 처방이 바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공론화 작업이다.
실제 열린우리당의 김근태 의장은 물론 정동영 전 의장마저 한나라당내 차기 대권주자그룹인 박근혜 전 대표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에 훨씬 못 미치는 저조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고 건 전 국무총리를 영입하든지, 아니면 정운찬 서울대 총장 등 그 누구라도 끌어와야 할 판이다. 그러자면 당내 경선방식 대신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당의 정체성을 지닌 후보를 뽑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의 정책과 전혀 다른 정책을 추구하는 사람이 후보로 선정될 위험성이 있다.
어떤 면에서 열린우리당은 급조된 정당이다. 따라서 지켜야할 정체성이 없는지도 모른다.
당선 가능성만 있다면, 아무라도 괜찮다는 식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논의하게 된 데는 이런 의식이 저변에 깔려 있을 것이다.
한나라당내에서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당심과 민심의 일치’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이야말로 웃기는 얘기다.
이는 자신들 스스로 ‘한나라당은 정책 정당이 아니다’라고 고백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급조된 정당인가?
지켜야 할 정체성이 없는 정당인가?
소위 ‘빅3’라고 불리는 3명의 대권주자들로는 자신이 없는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면 강 대표의 지적처럼 당장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논의를 중지해야 한다.
사실 현재 한나라당의 대권주자 경선 방침은 지난해 통과된 혁신위안에 따라 대의원 투표 및 여론조사 결과를 50대50으로 합산, 대선 6개월 전에 후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즉 당심과 민심을 같은 비율로 놓고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다. 한 정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데 민심을 이만큼 반영하는 것은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
거듭 말하지만 특정 정당의 후보라면 그 정당의 정책방향과 강령에 충실한 사람이 선출되는 게 맞다.
극단적인 예를 들면 우파 정당 후보를 선출하는 데 좌파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뽑는다거나, 반대로 좌파 정당 후보에 우파적 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이 선출된다면 정당 꼴이 어찌되겠는가.
대선 후보는 당내에서 뽑는 게 민주적 정당정치의 기본이다.
불리한 정치 환경을 극복키 위한 방법으로 선택하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일종의 변칙적인 접근으로서 한나라당이 굳이 이를 선택할 이유는 없다.
모쪼록 당의 정체성을 지켜내려는 강재섭 대표의 의지가 ‘오픈프라이머리’도입 반대로 나타난 만큼, 최소한 당내에서만이라도 더이상 이를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지 않기를 바란다.
한나라당이 100% 완전국민경선제인 이른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여부를 둘러싸고 내홍을 겪는 것을 보다 못해 던진 충고였다.
이에 대해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27일 아주 분명하고도 명쾌하게 답변을 해줬다.
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나라포럼’의 특강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아무나 시장바닥에서 찍으라는 거냐?”고 반문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어쩌고 하는 것은 열린우리당에 말리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의 이같은 판단은 옳다.
그런데도 여전히 당내에서는 비주류와 소장파 등이 공공연하게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의사를 밝히는가 하면, 당 밖에서는 친 한나라당 세력인 뉴라이트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의 필요성을 적극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지난 대선에서 두 번이나 패배한 것은 ‘현실안주’했기 때문”이라며, “당이 변해야 한다”는 점을 들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은 변화해야 한다. 하지만 그 변화를 추구하는 한 방식으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자는 데 대해서는 동의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뚜렷한 대권주자가 부각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불가피하게 ‘극약처방’을 할 수밖에 없다. 그 처방이 바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공론화 작업이다.
실제 열린우리당의 김근태 의장은 물론 정동영 전 의장마저 한나라당내 차기 대권주자그룹인 박근혜 전 대표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에 훨씬 못 미치는 저조한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고 건 전 국무총리를 영입하든지, 아니면 정운찬 서울대 총장 등 그 누구라도 끌어와야 할 판이다. 그러자면 당내 경선방식 대신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당의 정체성을 지닌 후보를 뽑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의 정책과 전혀 다른 정책을 추구하는 사람이 후보로 선정될 위험성이 있다.
어떤 면에서 열린우리당은 급조된 정당이다. 따라서 지켜야할 정체성이 없는지도 모른다.
당선 가능성만 있다면, 아무라도 괜찮다는 식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논의하게 된 데는 이런 의식이 저변에 깔려 있을 것이다.
한나라당내에서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당심과 민심의 일치’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이야말로 웃기는 얘기다.
이는 자신들 스스로 ‘한나라당은 정책 정당이 아니다’라고 고백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급조된 정당인가?
지켜야 할 정체성이 없는 정당인가?
소위 ‘빅3’라고 불리는 3명의 대권주자들로는 자신이 없는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면 강 대표의 지적처럼 당장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논의를 중지해야 한다.
사실 현재 한나라당의 대권주자 경선 방침은 지난해 통과된 혁신위안에 따라 대의원 투표 및 여론조사 결과를 50대50으로 합산, 대선 6개월 전에 후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즉 당심과 민심을 같은 비율로 놓고 후보를 결정하는 것이다. 한 정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데 민심을 이만큼 반영하는 것은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
거듭 말하지만 특정 정당의 후보라면 그 정당의 정책방향과 강령에 충실한 사람이 선출되는 게 맞다.
극단적인 예를 들면 우파 정당 후보를 선출하는 데 좌파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뽑는다거나, 반대로 좌파 정당 후보에 우파적 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이 선출된다면 정당 꼴이 어찌되겠는가.
대선 후보는 당내에서 뽑는 게 민주적 정당정치의 기본이다.
불리한 정치 환경을 극복키 위한 방법으로 선택하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일종의 변칙적인 접근으로서 한나라당이 굳이 이를 선택할 이유는 없다.
모쪼록 당의 정체성을 지켜내려는 강재섭 대표의 의지가 ‘오픈프라이머리’도입 반대로 나타난 만큼, 최소한 당내에서만이라도 더이상 이를 둘러싼 논의가 진행되지 않기를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