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주요 시책과제 등을 체계적·전문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설립된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연구원 1인이 평균 5개 이상의 연구를 동시에 진행, 연구결과물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 양창호 의원(한나라당·사진)은 16일 열린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연구원 1인당 평균 5개 이상의 연구를 동시진행하고 있으며, 이중 도시환경부의 김 모 연구원은 동일기간에 17개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 의원에 따르면 A연구원은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 연구’을 진행하면서 총 17건의 연구를 진행했거나, 타 연구에 참여했으며, B연구원은 수탁과제인 ‘서울시 택시발전모델 개발연구’를 연구하면서 동일한 기간 내 4개의 단독과제를 동시에 진행했다.
또한 C연구원의 경우 ‘서울과 평양간의 도시간 교류 및 협력방안 연구’와 ‘보도의 설치 및 관리기준 국제비교연구’ 등 4개의 과제연구에 투입되는 등 동일기간 내 진행된 연구의 내용이 상이한 사례도 많았다.
양 의원은 “연구원들의 중복연구로 결과물의 질이 저하된다면 이로 인해 서울 시정이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원의 중복연구는 최근 학계에서 문제가 된 자기표절문제로 까지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ilbo.co.kr
서울시의회 양창호 의원(한나라당·사진)은 16일 열린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연구원 1인당 평균 5개 이상의 연구를 동시진행하고 있으며, 이중 도시환경부의 김 모 연구원은 동일기간에 17개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 의원에 따르면 A연구원은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 연구’을 진행하면서 총 17건의 연구를 진행했거나, 타 연구에 참여했으며, B연구원은 수탁과제인 ‘서울시 택시발전모델 개발연구’를 연구하면서 동일한 기간 내 4개의 단독과제를 동시에 진행했다.
또한 C연구원의 경우 ‘서울과 평양간의 도시간 교류 및 협력방안 연구’와 ‘보도의 설치 및 관리기준 국제비교연구’ 등 4개의 과제연구에 투입되는 등 동일기간 내 진행된 연구의 내용이 상이한 사례도 많았다.
양 의원은 “연구원들의 중복연구로 결과물의 질이 저하된다면 이로 인해 서울 시정이 잘못된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원의 중복연구는 최근 학계에서 문제가 된 자기표절문제로 까지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