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차기 대선에 출마하려는 한나라당의 주자들이 소속 의원들의 충성도 높이기에 혈안이다.
실제 한나라당은 이미 대선주자들에 의해 ‘한 지붕 세 가족’이 되고 있고, 중립 지대의 의원들도 선택을 강요받고 있을 정도다.
당내 세(勢)에서 밀리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와 그를 지지하는 일부 소장파 의원들이 “줄 세우기 정치로는 미래가 없다”고 반발하고 있으나,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 진영의 줄 세우기는 노골적으로 그 도를 더해가고 있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그리고 이들 진영의 인사들이 소속 의원들을 1대1로 집중적으로 만나거나 만나자는 전화를 하고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당 내 연구모임인 ‘푸른모임’의 임태희 공동대표가 “대선 후보들이 유리한 경쟁을 위해 의원들에게 도와달라는 요청이 많다”고 고백할 정도다.
사실 어느 주자 할 것 없이 대선 4개월 뒤 총선의 공천권을 무기로 의원들을 압박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오죽하면 모 의원이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이 이명박 전 서울시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세 사람 어느 쪽에 줄을 설 것인가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겠는가.
최근 ‘빅3’의 줄 세우기에 반대하는 의원 39명으로 구성된 ‘희망모임’이 “줄 세우기는 연고와 지역, 공천과 직위 등을 약속하기 때문에 공정하고 정상적인 경선이 될 수 없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최근 각 의원실과 사무국에 ‘대선후보 공정경선을 위한 5대 금지사항’이라는 제목으로 ▲당직자의 특정후보 캠프 가담 ▲허위사실 유포 ▲사무처 당직자의 불공정행위 등을 엄금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는 등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약발’은 먹히지 않는 분위기다.
우선 과거 지구당 위원장과 같은 성격을 지닌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에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당내 경선에서 해당 지역구 ‘표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바로 당협 운영위원장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광역 자치단체장 출신의 대권주자는 기초자치단체장을 자기사람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서울의 A구청장 등 일부 구청장들의 경우 대선주자와 줄을 대기 위해 이미 해당 캠프 참모들과의 상견례를 마쳤다는 소문이 당 안팎에서 나돌고 있을 정도다. 실제 이들은 대선주자 최측근으로 불리는 의원 및 보좌진들과 자주 식사를 하며 접촉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하니 그 상황일 어찌할지는 짐작이 가고도 남을 일이다.
이들이 각 시·도당을 장악하기 위해 시·도당 위원장들에게 읍소하고 나닌다는 사실은 이제 공공연한 비밀이 되고 말았다.
심지어 같은 대권주자의 캠프 내에서조차 주도권 다툼이 벌어질 정도라고 하니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이로 인해 같은 당 사람이지만 서로를 적대시하는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박사모’니 ‘명박사랑’이니 하는 정치인 팬클럽 간에 벌어지는 충돌은 그 정도가 심하다.
이러다 어느 한쪽으로 후보가 결정돼 범여권 단일후보와 맞붙을 경우, 과연 이들 ‘빅3’와 이들을 지지하는 진영이 서로 힘을 합쳐 정권을 창출할 수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솔직한 심정을 토로하자면 회의적이다.
무엇보다도 4개월 뒤에 있을 공천을 무기로 원내외위원장들과 단체장들에게 줄서기를 강요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로 인해 줄을 잘 선 기회주의자가 줄을 서지 않은 유능한 인재를 몰아내고 총선에 출마할 경우, 과연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는가.
어림도 없는 일이다. 현재 한나라당을 향한 지지는 열린우리당에 대한 반감으로 얻어진 불안정한 지지다. 한나라당이 잘못했을 경우 언제든 등을 돌릴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한나라당 ‘빅3’는 당내 인사들에게 줄서기를 강요하기보다는 일반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는 일에 힘써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열린우리당이 실패한 부동산 정책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게 우선이다. 우리는 그런 열정을 지닌 대권주자가 나오기를 고대하고 있다.
실제 한나라당은 이미 대선주자들에 의해 ‘한 지붕 세 가족’이 되고 있고, 중립 지대의 의원들도 선택을 강요받고 있을 정도다.
당내 세(勢)에서 밀리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와 그를 지지하는 일부 소장파 의원들이 “줄 세우기 정치로는 미래가 없다”고 반발하고 있으나,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 진영의 줄 세우기는 노골적으로 그 도를 더해가고 있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그리고 이들 진영의 인사들이 소속 의원들을 1대1로 집중적으로 만나거나 만나자는 전화를 하고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당 내 연구모임인 ‘푸른모임’의 임태희 공동대표가 “대선 후보들이 유리한 경쟁을 위해 의원들에게 도와달라는 요청이 많다”고 고백할 정도다.
사실 어느 주자 할 것 없이 대선 4개월 뒤 총선의 공천권을 무기로 의원들을 압박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
오죽하면 모 의원이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이 이명박 전 서울시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세 사람 어느 쪽에 줄을 설 것인가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겠는가.
최근 ‘빅3’의 줄 세우기에 반대하는 의원 39명으로 구성된 ‘희망모임’이 “줄 세우기는 연고와 지역, 공천과 직위 등을 약속하기 때문에 공정하고 정상적인 경선이 될 수 없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최근 각 의원실과 사무국에 ‘대선후보 공정경선을 위한 5대 금지사항’이라는 제목으로 ▲당직자의 특정후보 캠프 가담 ▲허위사실 유포 ▲사무처 당직자의 불공정행위 등을 엄금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는 등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약발’은 먹히지 않는 분위기다.
우선 과거 지구당 위원장과 같은 성격을 지닌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에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당내 경선에서 해당 지역구 ‘표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바로 당협 운영위원장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광역 자치단체장 출신의 대권주자는 기초자치단체장을 자기사람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서울의 A구청장 등 일부 구청장들의 경우 대선주자와 줄을 대기 위해 이미 해당 캠프 참모들과의 상견례를 마쳤다는 소문이 당 안팎에서 나돌고 있을 정도다. 실제 이들은 대선주자 최측근으로 불리는 의원 및 보좌진들과 자주 식사를 하며 접촉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하니 그 상황일 어찌할지는 짐작이 가고도 남을 일이다.
이들이 각 시·도당을 장악하기 위해 시·도당 위원장들에게 읍소하고 나닌다는 사실은 이제 공공연한 비밀이 되고 말았다.
심지어 같은 대권주자의 캠프 내에서조차 주도권 다툼이 벌어질 정도라고 하니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이로 인해 같은 당 사람이지만 서로를 적대시하는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박사모’니 ‘명박사랑’이니 하는 정치인 팬클럽 간에 벌어지는 충돌은 그 정도가 심하다.
이러다 어느 한쪽으로 후보가 결정돼 범여권 단일후보와 맞붙을 경우, 과연 이들 ‘빅3’와 이들을 지지하는 진영이 서로 힘을 합쳐 정권을 창출할 수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솔직한 심정을 토로하자면 회의적이다.
무엇보다도 4개월 뒤에 있을 공천을 무기로 원내외위원장들과 단체장들에게 줄서기를 강요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로 인해 줄을 잘 선 기회주의자가 줄을 서지 않은 유능한 인재를 몰아내고 총선에 출마할 경우, 과연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는가.
어림도 없는 일이다. 현재 한나라당을 향한 지지는 열린우리당에 대한 반감으로 얻어진 불안정한 지지다. 한나라당이 잘못했을 경우 언제든 등을 돌릴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한나라당 ‘빅3’는 당내 인사들에게 줄서기를 강요하기보다는 일반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는 일에 힘써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열린우리당이 실패한 부동산 정책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게 우선이다. 우리는 그런 열정을 지닌 대권주자가 나오기를 고대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