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검증과 네거티브는 다르다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7-01-15 19:09:52
    • 카카오톡 보내기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 한나라당 유력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이 서로 후보검증 공방을 벌이고 있다.

    특히 강재섭 대표가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이 대선후보 검증을 주도하겠다”는 뜻을 밝힘에 따라 ‘후보검증’을 둘러싼 대권 주자간 갈등이 당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실제 강 대표는 “2월 초 당내 경선준비기구를 출범시킬 예정이며 여기서 한나라당 대권후보의 선출방식·시기·대권후보 검증방법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그는 “후보자들이 검증을 하는 것보다는 당이 하는 것이 옳지 않느냐”는 말도 했다고 한다.

    인명진 당 윤리위원장도 이날 “국민이 믿을 수 있는 깨끗한 후보를 검증해 내놓아야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후보검증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그는 “시기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으나 “후보검증작업의 주체가 당이 돼야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강 대표와 생각을 같이 하고 있다.

    즉 후보들이 상대후보의 자질을 검증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지만, 당이 나서서 후보를 검증하는 것은 반드시 실시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는 말이다.

    사실 한나라당은 두 번이나 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한 상태에서 후보를 냈다가 정권교체에 실패했다. 따라서 이번에는 제대로 검증된 후보를 내야 한다는 주장은 당연한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가 “공당이 대통령 선거에 검증된 후보를 내는 것은 당연하다. 모든 후보가 검증을 받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한 것도 지극히 상식적인 발언이다.

    그런데도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은 이에 대해 떨떠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 이 전 시장의 한 핵심 측근은 “후보검증 주장은 결국 당내에서 네거티브 공세를 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강력하게 비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심지어 “제2의 김대업 사태를 당내에서 조장하자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비난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들의 주장처럼 후보를 검증하자는 것이 과연 ‘네거티브’전략인가?

    아니다. 후보검증과 네거티브는 전혀 별개의 문제다.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볼 때에 ‘검증’이란 ‘하나의 명제(命題)가 옳은지 그른지를 사실에 의거하여 확인하는 일’이다.

    반면 ‘네거티브 전략’은 ‘부정적이거나 반감을 살만한 것들을 부각시키는 방법이나 전략’을 말하는 것이다.
    이미 세간에는 이명박 전 시장에 대해 출생지 문제 등 갖가지 의혹들이 제기된 상태다.

    실제 이 시장의 출생지가 오사카인지, 포항인지 분명하게 밝혀야 하는 것 아니겠는가. 만일 오사카라면 그동안 서울시장 등 선거과정에서 포항이라고 명시한 이유는 무엇인지 그것도 해명해야 할 것이다.

    또 ‘명박(아끼히라)’이란 이름이 일본식 이름이라는 소리가 있는데, 사실인지 아니면 그냥 우연의 일치인지도 분명치 않다.

    이외에 이 전 시장 본인의 군 면제 의혹을 비롯, 재산형성 과정의 축재 의혹 등등이 잇따라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 시중에는 그를 둘러싼 50가지 의혹에 관한 `이명박 X-파일’이 나돌고 있을 정도다.

    이런 것들이 사실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도 이 전 시장은 이에 대해 ‘소이부답(笑而不答)’이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말뜻대로 웃기만 하고 대답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그저 웃음으로 때워 넘기기에는 제기된 의혹들이 간단치 않다. 특히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노무현 대통령을 선출, 그 후유증을 겪고 있는 유권자들은 이번에는 반드시 대통령 호보의 자질을 확인하겠다며 단단히 벼르고 있는 마당이다.

    따라서 시기가 문제일 뿐 후보 검증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할 관문이다.

    즉 이명박 전 서울시장 뿐만 아니라, 이미 검증절차를 마쳤다고 주장하는 박근혜 전 대표는 물론,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원희룡 의원, 고진화 의원 등 당내에서 출사표를 던진 모든 주자들이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말이다.
    이 과정을 회피하기 위해 후보검증 과정을 ‘네거티브전략’이라고 몰아세우는 것은 옳지 못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