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여론조사 4만명 100% 반영’을 주장하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근들이 그 당위성 설파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나, 당원들은 “차라리 무소속으로 출마하라”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 이 전 시장 측근들은 연일 “민심 수렴을 최대한 보장하는 경선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이성권 의원은 지난 28일 “현행 경선 규정은 민심 반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며 “현행 경선 규정을 보완·발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 전 시장 캠프의 호남 지역 책임자로 거론되는 정의화 의원도 전날 “경선룰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려면 당원과 국민의 의사를 반반씩 반영해야 한다는 당헌·당규 정신을 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당일 참여 대의원과 책임당원의 유효 투표율에 맞게 국민 참여 부분을 교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이 전 시장 대리인으로 경선준비위원회 ‘2007국민승리위원회’에 참여했던 박형준 의원은 황우여 사무총장에게 여론조사 반영 방식에 따른 유·불리 등을 분석해 그에 따른 새로운 당헌당규 개정안을 제출할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이들이 내세우는 명분은 ‘민심수렴’이다.
한나라당이 이미 합의해 놓은 경선 방식은 전체 선거인단 수를 20만 명으로 못 박고, 그 구성 비율은 대의원, 당원, 국민참여, 여론조사를 각각 2:3:3:2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여론조사 비중이 20%이니까 20만명 가운데 4만명은 여론조사 몫으로 제쳐놓게 된다. 나머지 대의원, 당원, 국민참여를 합쳐 80%인 16만 명이 경선 현장에 나올 선거인단의 숫자다. 문제는 이 선거인단 16만명 전부가 경선장에 나오지 않는다는 데 있다. 지난해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를 뽑은 경선에서는 40.6%만이 투표에 참가했다.
만약 이번 한나라당 경선에서 비여론조사 선거인단 투표율이 50%로 높아져 16만명 중 8만명이 투표한다고 가정해 보자. 박근혜 전 대표 측 주장은 이 8만명(유효 투표수)을 전체의 80%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전체는 10만명이 되고, 여론조사 20%에 해당하는 표는 2만 명이 된다. 그런데 이 전 시장은 선거인단 16만명 중 몇 명이 경선장에 나와 투표하든지 여론조사 비중은 무조건 ‘4만명’으로 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8만명이 투표했으므로 전체는 12만명이 되고, 여론조사 반영 비율은 20%가 아니라, 무려 33.3%로 치솟는다.
이에 대한 당내 반응은 차갑다.
먼저 홍준표 의원은 28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는 선거인단 여론조사를 유효 투표수의 20%로 채워야한다”며 “(이 전 시장측) 참모들이 엉뚱한 주장을 하는데, 그 내용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지난 번 서울시장 경선, 광역단체장 경선 등을 혁신안대로 치렀다”며 사실상 박근혜 전 대표의 손을 들어주었다.
당내 중립을 표방하는 ‘당이 중심이 되는 모임’도 “관례대로 유효투표수의 20%를 기준으로 삼는 게 바람직하다”며 박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맹형규, 권영세, 임태희, 장윤석 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는 ‘당 중심모임’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당헌에 규정된 당원과 국민참여 비율 5대 5는 경선에 ‘참여할 기회’를 의미하지 ‘결과’를 그 비율대로 반영하자는 뜻이 아니다”라며 “4만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자는 것은 대의원, 국민선거인단도 애초 정해진 인원 4만명과 6만명 모두를 투표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논리와 같다”고 이 전 시장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한나라당 당원들의 분위기는 더욱 냉랭하다.
실제 당원들은 한나라당 홈페이지를 통해 이 전 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아이디 ‘eiffel777’는 “어떻게 해서라도 많은 사람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구사하지 않고, 왜 하필 이제껏 잘 해오던 규정을 바꾸려고 하느냐”고 이 전 시장 측을 강하게 질타했다. 심지어 아이디 ‘wgwan1’는 “민심을 100% 반영하고 싶으면 무소속으로 출마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며 노골적으로 비아냥거렸다.
“아이디 ‘snow4515’ 역시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하면, 최대한 민심이 수렴될 것”이라고 비꼬았고, 아이디 ‘wkekqhtltl’도 “차라리 무소속으로 출마하라”고 거들었다.
실제 이 전 시장 측근들은 연일 “민심 수렴을 최대한 보장하는 경선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이성권 의원은 지난 28일 “현행 경선 규정은 민심 반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다”며 “현행 경선 규정을 보완·발전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 전 시장 캠프의 호남 지역 책임자로 거론되는 정의화 의원도 전날 “경선룰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려면 당원과 국민의 의사를 반반씩 반영해야 한다는 당헌·당규 정신을 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당일 참여 대의원과 책임당원의 유효 투표율에 맞게 국민 참여 부분을 교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이 전 시장 대리인으로 경선준비위원회 ‘2007국민승리위원회’에 참여했던 박형준 의원은 황우여 사무총장에게 여론조사 반영 방식에 따른 유·불리 등을 분석해 그에 따른 새로운 당헌당규 개정안을 제출할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이들이 내세우는 명분은 ‘민심수렴’이다.
한나라당이 이미 합의해 놓은 경선 방식은 전체 선거인단 수를 20만 명으로 못 박고, 그 구성 비율은 대의원, 당원, 국민참여, 여론조사를 각각 2:3:3:2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여론조사 비중이 20%이니까 20만명 가운데 4만명은 여론조사 몫으로 제쳐놓게 된다. 나머지 대의원, 당원, 국민참여를 합쳐 80%인 16만 명이 경선 현장에 나올 선거인단의 숫자다. 문제는 이 선거인단 16만명 전부가 경선장에 나오지 않는다는 데 있다. 지난해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를 뽑은 경선에서는 40.6%만이 투표에 참가했다.
만약 이번 한나라당 경선에서 비여론조사 선거인단 투표율이 50%로 높아져 16만명 중 8만명이 투표한다고 가정해 보자. 박근혜 전 대표 측 주장은 이 8만명(유효 투표수)을 전체의 80%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전체는 10만명이 되고, 여론조사 20%에 해당하는 표는 2만 명이 된다. 그런데 이 전 시장은 선거인단 16만명 중 몇 명이 경선장에 나와 투표하든지 여론조사 비중은 무조건 ‘4만명’으로 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8만명이 투표했으므로 전체는 12만명이 되고, 여론조사 반영 비율은 20%가 아니라, 무려 33.3%로 치솟는다.
이에 대한 당내 반응은 차갑다.
먼저 홍준표 의원은 28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는 선거인단 여론조사를 유효 투표수의 20%로 채워야한다”며 “(이 전 시장측) 참모들이 엉뚱한 주장을 하는데, 그 내용을 잘 모르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지난 번 서울시장 경선, 광역단체장 경선 등을 혁신안대로 치렀다”며 사실상 박근혜 전 대표의 손을 들어주었다.
당내 중립을 표방하는 ‘당이 중심이 되는 모임’도 “관례대로 유효투표수의 20%를 기준으로 삼는 게 바람직하다”며 박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맹형규, 권영세, 임태희, 장윤석 의원 등이 참여하고 있는 ‘당 중심모임’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당헌에 규정된 당원과 국민참여 비율 5대 5는 경선에 ‘참여할 기회’를 의미하지 ‘결과’를 그 비율대로 반영하자는 뜻이 아니다”라며 “4만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자는 것은 대의원, 국민선거인단도 애초 정해진 인원 4만명과 6만명 모두를 투표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논리와 같다”고 이 전 시장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한나라당 당원들의 분위기는 더욱 냉랭하다.
실제 당원들은 한나라당 홈페이지를 통해 이 전 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아이디 ‘eiffel777’는 “어떻게 해서라도 많은 사람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구사하지 않고, 왜 하필 이제껏 잘 해오던 규정을 바꾸려고 하느냐”고 이 전 시장 측을 강하게 질타했다. 심지어 아이디 ‘wgwan1’는 “민심을 100% 반영하고 싶으면 무소속으로 출마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며 노골적으로 비아냥거렸다.
“아이디 ‘snow4515’ 역시 “탈당해서 무소속으로 출마하면, 최대한 민심이 수렴될 것”이라고 비꼬았고, 아이디 ‘wkekqhtltl’도 “차라리 무소속으로 출마하라”고 거들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