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한나라당 대권경선문제와 관련,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신경전을 거듭하고 있다. 여론조사 반영 방식을 둘러싼 힘겨루기를 진행하고 있는 양 진영은 전국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기를 두고 다시 갈등을 빚고 있다.
물론 양 진영 모두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룰을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어느 정도의 ‘억지’는 애교로 받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명박 진영의 논리는 너무나 해괴하다.
우선 시·도당 위원장 선출시기를 보자. 이 전 시장 측은 6월 선거를 주장하고 있다.
사실 한나라당은 매년 6월 시·도당위원장 선거를 실시한다. 올 6월에도 현 시·도당위원장 선거가 예정돼 있다. 단순히 여기까지만 보자면 이 전 시장 측의 주장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 당헌·당규에 따르면 시·도당위원장 선출은 대선후보 경선 뒤 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다.
시·도당위원장의 경우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당 경선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경선에 영향을 덜 주려고 그렇게 정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통령 후보 선출 시기가 6월에서 8월로 연기된 만큼,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기가 역시 8월로 연기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이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논리다.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전에 시·도당위원장을 선출한다면 대선후보 대리전이 되고 분열과 갈등의 장이 되고 말 것이란 점은 불 보듯 빤하다. 백해무익하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이 전 시장 측은 당초 예정대로 6월에 실시해야 한다며 고집을 부리고 있다.
이는 참으로 억지다. 그런 논리라면 대선후보 경선도 8월로 미루지 말고 6월에, 그리고 투표인단도 20만명으로 확대해서는 안 되고 당초 당헌·당규대로 4만명(대의원 1만 명, 당원 1만5000명, 일반국민 선거인단 1만5000명, 여론조사 인원 제외)으로 하는 게 맞다.
이 전 시장의 해괴한 논리는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현재 박근혜-이명박 대선주자들은 20%의 여론조사 반영 방식을 두고 힘겨루기를 진행중이다. 최근 황우여 사무총장의 주재로 각 후보의 대리인들이 모여 합의점을 찾고 있지만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은 20%의 여론조사를 유효투표수에 따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최대한 민심을 많이 반영하기 위해서라도 20%의 여론조사를 4만명으로 못 박자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한나라당 2007 국민승리위원회는 선거인단 20만 기준에 선거인단 구성은 전당대회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 30%, 여론조사 20%로 하는 방안을 최고위원회에 보고했었다.
이는 당헌·당규에 충실한 규정이다.
그런데 이명박 전 시장 측은 여론조사를 20%가 아니라, 4만명으로 못을 박자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5.31 지방선거 당시 서울의 경우 당원선거인단과 국민선거인단을 합하면 80%를 점하는데, 원래 나오기로 한 사람 수의 40%만 참석했고 대구의 경우 20%만 참석했다. 그렇다면 선거인단 20만명 중에 80%를 점하는 사람의 40%만 나오면 6만4000명이 참석하게 되는 것이다. 20%라면 3만2000명이다. 결국 여론조사를 4만명으로 못 박을 경우, 6대4로 여론조사 비율이 어마어마하게 커지거나, 여론조사 결과가 다른 선거인단 비율보다 오히려 더 많게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는 상식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 전 시장 측은 왜 이처럼 비상식적인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것일까?
시도위원장 선거와 관련해서는 어느 진영이 더 많은 시·도당위원장을 장악하고 있느냐에 따라 경선판도가 달라질 수도 있는데, 당심에서 크게 뒤지는 이 전 시장이 현재 판세에 불안을 느끼고 ‘꼬장’을 부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론조사 반영 비율 문제를 놓고 억지를 부리는 것 역시 뭔가 불안한 마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유권자들은 상식을 원한다. 해괴한 논리로 국민들을 설득하려 들기보다는 누구나 쉽게 수긍할 수 있는 상식적인 논리로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다. 어쩌면 이 전 시장도 이런 상식을 원하고 있는지 모른다. 만일 그렇다면 맹목적인 추종자들이 해괴한 논리로 그의 표를 갉아먹고 있다는 뜻인데….
물론 양 진영 모두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룰을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어느 정도의 ‘억지’는 애교로 받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명박 진영의 논리는 너무나 해괴하다.
우선 시·도당 위원장 선출시기를 보자. 이 전 시장 측은 6월 선거를 주장하고 있다.
사실 한나라당은 매년 6월 시·도당위원장 선거를 실시한다. 올 6월에도 현 시·도당위원장 선거가 예정돼 있다. 단순히 여기까지만 보자면 이 전 시장 측의 주장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 당헌·당규에 따르면 시·도당위원장 선출은 대선후보 경선 뒤 하는 것으로 명시돼 있다.
시·도당위원장의 경우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당 경선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경선에 영향을 덜 주려고 그렇게 정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통령 후보 선출 시기가 6월에서 8월로 연기된 만큼,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기가 역시 8월로 연기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이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논리다.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전에 시·도당위원장을 선출한다면 대선후보 대리전이 되고 분열과 갈등의 장이 되고 말 것이란 점은 불 보듯 빤하다. 백해무익하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이 전 시장 측은 당초 예정대로 6월에 실시해야 한다며 고집을 부리고 있다.
이는 참으로 억지다. 그런 논리라면 대선후보 경선도 8월로 미루지 말고 6월에, 그리고 투표인단도 20만명으로 확대해서는 안 되고 당초 당헌·당규대로 4만명(대의원 1만 명, 당원 1만5000명, 일반국민 선거인단 1만5000명, 여론조사 인원 제외)으로 하는 게 맞다.
이 전 시장의 해괴한 논리는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현재 박근혜-이명박 대선주자들은 20%의 여론조사 반영 방식을 두고 힘겨루기를 진행중이다. 최근 황우여 사무총장의 주재로 각 후보의 대리인들이 모여 합의점을 찾고 있지만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박근혜 전 대표 측은 20%의 여론조사를 유효투표수에 따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최대한 민심을 많이 반영하기 위해서라도 20%의 여론조사를 4만명으로 못 박자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한나라당 2007 국민승리위원회는 선거인단 20만 기준에 선거인단 구성은 전당대회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 30%, 여론조사 20%로 하는 방안을 최고위원회에 보고했었다.
이는 당헌·당규에 충실한 규정이다.
그런데 이명박 전 시장 측은 여론조사를 20%가 아니라, 4만명으로 못을 박자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5.31 지방선거 당시 서울의 경우 당원선거인단과 국민선거인단을 합하면 80%를 점하는데, 원래 나오기로 한 사람 수의 40%만 참석했고 대구의 경우 20%만 참석했다. 그렇다면 선거인단 20만명 중에 80%를 점하는 사람의 40%만 나오면 6만4000명이 참석하게 되는 것이다. 20%라면 3만2000명이다. 결국 여론조사를 4만명으로 못 박을 경우, 6대4로 여론조사 비율이 어마어마하게 커지거나, 여론조사 결과가 다른 선거인단 비율보다 오히려 더 많게 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는 상식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 전 시장 측은 왜 이처럼 비상식적인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것일까?
시도위원장 선거와 관련해서는 어느 진영이 더 많은 시·도당위원장을 장악하고 있느냐에 따라 경선판도가 달라질 수도 있는데, 당심에서 크게 뒤지는 이 전 시장이 현재 판세에 불안을 느끼고 ‘꼬장’을 부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론조사 반영 비율 문제를 놓고 억지를 부리는 것 역시 뭔가 불안한 마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유권자들은 상식을 원한다. 해괴한 논리로 국민들을 설득하려 들기보다는 누구나 쉽게 수긍할 수 있는 상식적인 논리로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다. 어쩌면 이 전 시장도 이런 상식을 원하고 있는지 모른다. 만일 그렇다면 맹목적인 추종자들이 해괴한 논리로 그의 표를 갉아먹고 있다는 뜻인데….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