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요즘 각 언론의 보도행태가 수상하다.
한나라당 검증기구인 국민검증위원회(위원장 안강민)는 지난 29일 첫 회의를 열고, 다음달 10~12일께 청문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이날 검증위원회 9명의 위원들 사이에는 후보 검증을 하되, 국민에게 그 내용을 알리기 위해 전과정을 공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었다. 특히 검증을 철저히 하기 위해 하루에 ‘뚝딱’ 해치우는 형태의 합동청문회가 아니라, 후보별 개별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 데 대해 서로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물론 9명의 위원들 가운데 모씨가 검증 과정을 공개와 비공개로 나누어 진행하는 게 어떠냐는 의견을 내놓기는 했었다.
하지만 또 다른 위원이 “모두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위원들 대부분이 이에 공감을 표시했다. 사실상 ‘모두 공개’, ‘개별청문회’쪽으로 결론이 내려졌다는 말이다.
심지어 특정 후보의 측근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모 위원마저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하니,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론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런데 언론의 보도 내용은 전혀 다르다.
실제 상당수의 언론들이 ‘검증위원들 사이에는 형식을 합동 청문회로 할지 아니면 후보별 개별 청문회로 할지를 놓고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거나, ‘검증위는 청문회 개최 방침에는 합의했으나 후보별 청문회 형식으로 수일간에 걸쳐 진행할지, 아니면 합동청문회를 통해 하루에 끝낼지에 대해서는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는 식으로 보도하고 있다.
이같은 보도만 보면 마치 검증위가 ‘합동청문회’와 ‘개별청문회’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거나, ‘공개’와 ‘비공개’ 사이에서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같은 보도를 접한 위원들은 한마디로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청문회라는 것은 국회에서 필요한 경우 증인, 참고인, 감정인을 채택하여 신문하는 제도다.
한나라당이 청문회 형식의 후보검증을 하겠다면, 당연히 국회 청문회 형식에 준하는 방식을 따라야 할 것이다.
그런데 국회에서 청문회가 밀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을 본 사람이 있는가?
청문회를 단 하루 만에 얼렁뚱땅 해치우는 경우를 본 사람이 있는가?
당연히 없을 것이다. 한나라당 검증위원들도 바보가 아닌 이상, 그런 엉터리 청문회를 열자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다. 즉 ‘비공개’,‘합동청문회’를 고집하는 위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는 말이다.
심지어 검증위원 가운데 모 위원은 문제점이 나타나면 심도 있는 청문회를 위해 1주일이 됐든 2주일이 됐든, 시간에 구속받지 않는 청문회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실제 검증위는 당 홈페이지 ‘국민제보코너‘를 통해 인터넷과 우편 등을 통해 검증 관련 제보를 접수, 6월13일로 예상되는 경선후보 등록일에 자료수집을 마친 뒤 사실확인 및 현장검증, 당사자 소명 등의 절차를 거쳐 검증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신고가 접수되지 않은 내용까지 검증위원들이 찾아내 검증을 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온 마당이다.
그런데도 상당수의 언론들은 마치 ‘공개냐 비공개냐’, ‘합동청문회냐 개별청문회냐’를 놓고 검증위원들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시민일보도 알고 있는 사실을 조·중·동과 같은 거대 언론사들이 몰랐기 때문일까?
물론 현재 검증위원들에게는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다. 검증위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발표는 대변인의 입을 통해서만 하기로 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공식적인 정보를 취합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애로사항이 따를 것이다. 하지만, 숱한 인적 자원을 가진 언론사가 시민일보만한 정보력도 없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서도 일부러 이런 기사를 흘려 여론의 추이를 살피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 어쩌면 고의로 정확한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즉 자신들이 지지하는 특정 후보를 위한 ‘미필적 고의’ 형태의 오보를 내고 있다는 말이다.
이미 결정된 ‘개별청문회’를 열 경우에 피해가 예상되는 후보, ‘공개청문회’를 열 경우에 상처가 입을 것이 확실시되는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합동청문회와 비공개 청문회를 거론하는 언론사들의 모습이 처량하기 그지없다.
한나라당 검증기구인 국민검증위원회(위원장 안강민)는 지난 29일 첫 회의를 열고, 다음달 10~12일께 청문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이날 검증위원회 9명의 위원들 사이에는 후보 검증을 하되, 국민에게 그 내용을 알리기 위해 전과정을 공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 있었다. 특히 검증을 철저히 하기 위해 하루에 ‘뚝딱’ 해치우는 형태의 합동청문회가 아니라, 후보별 개별청문회를 열어야 한다는 데 대해 서로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물론 9명의 위원들 가운데 모씨가 검증 과정을 공개와 비공개로 나누어 진행하는 게 어떠냐는 의견을 내놓기는 했었다.
하지만 또 다른 위원이 “모두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위원들 대부분이 이에 공감을 표시했다. 사실상 ‘모두 공개’, ‘개별청문회’쪽으로 결론이 내려졌다는 말이다.
심지어 특정 후보의 측근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모 위원마저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하니,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론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런데 언론의 보도 내용은 전혀 다르다.
실제 상당수의 언론들이 ‘검증위원들 사이에는 형식을 합동 청문회로 할지 아니면 후보별 개별 청문회로 할지를 놓고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거나, ‘검증위는 청문회 개최 방침에는 합의했으나 후보별 청문회 형식으로 수일간에 걸쳐 진행할지, 아니면 합동청문회를 통해 하루에 끝낼지에 대해서는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는 식으로 보도하고 있다.
이같은 보도만 보면 마치 검증위가 ‘합동청문회’와 ‘개별청문회’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거나, ‘공개’와 ‘비공개’ 사이에서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같은 보도를 접한 위원들은 한마디로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청문회라는 것은 국회에서 필요한 경우 증인, 참고인, 감정인을 채택하여 신문하는 제도다.
한나라당이 청문회 형식의 후보검증을 하겠다면, 당연히 국회 청문회 형식에 준하는 방식을 따라야 할 것이다.
그런데 국회에서 청문회가 밀실에서 비공개로 진행되는 것을 본 사람이 있는가?
청문회를 단 하루 만에 얼렁뚱땅 해치우는 경우를 본 사람이 있는가?
당연히 없을 것이다. 한나라당 검증위원들도 바보가 아닌 이상, 그런 엉터리 청문회를 열자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다. 즉 ‘비공개’,‘합동청문회’를 고집하는 위원은 단 한명도 없었다는 말이다.
심지어 검증위원 가운데 모 위원은 문제점이 나타나면 심도 있는 청문회를 위해 1주일이 됐든 2주일이 됐든, 시간에 구속받지 않는 청문회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실제 검증위는 당 홈페이지 ‘국민제보코너‘를 통해 인터넷과 우편 등을 통해 검증 관련 제보를 접수, 6월13일로 예상되는 경선후보 등록일에 자료수집을 마친 뒤 사실확인 및 현장검증, 당사자 소명 등의 절차를 거쳐 검증청문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신고가 접수되지 않은 내용까지 검증위원들이 찾아내 검증을 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온 마당이다.
그런데도 상당수의 언론들은 마치 ‘공개냐 비공개냐’, ‘합동청문회냐 개별청문회냐’를 놓고 검증위원들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시민일보도 알고 있는 사실을 조·중·동과 같은 거대 언론사들이 몰랐기 때문일까?
물론 현재 검증위원들에게는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다. 검증위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발표는 대변인의 입을 통해서만 하기로 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공식적인 정보를 취합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애로사항이 따를 것이다. 하지만, 숱한 인적 자원을 가진 언론사가 시민일보만한 정보력도 없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서도 일부러 이런 기사를 흘려 여론의 추이를 살피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다. 어쩌면 고의로 정확한 정보를 취합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즉 자신들이 지지하는 특정 후보를 위한 ‘미필적 고의’ 형태의 오보를 내고 있다는 말이다.
이미 결정된 ‘개별청문회’를 열 경우에 피해가 예상되는 후보, ‘공개청문회’를 열 경우에 상처가 입을 것이 확실시되는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합동청문회와 비공개 청문회를 거론하는 언론사들의 모습이 처량하기 그지없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