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검증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7-06-14 18:56:18
    • 카카오톡 보내기
    고하승 편집국장
    {ILINK:1}지금 대선주자들의 후보검증 문제로 세상이 시끄럽다.

    한나라당 양대 대선주자인 이명박 전 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의 검증공방이 갈수록 치열해지는가 하면, 열린우리당에서는 이 전 시장의 주가조작 의혹 등과 관련해 국정조사 및 특별검사제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 열린우리당 장영달 의원 같은 경우에는 14일 박 전 대표와 이 전 시장에 대한 자료가 있음을 시인한 상태다.

    실제 장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대통합신당추진연석회의에서 “홍준표 의원이나, 원희룡 의원이나, 고진화 의원이 후보가 된다면 몰라도 박근혜 전 대표나, 이명박 전 시장이 후보가 된다면 우리는 반드시 승리할 수 있다고 확신 한다”며 “그런 중요한 자료도 우리가 갖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후보 검증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우기 어렵게 됐다.

    특히 전날에는 들어보지도 못한 ‘정권교체를 위한 사이버 국민연대’라는 단체가 이미 불거진 정수장학회 문제와 관련, 박 전 대표를 업무상횡령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는 이상한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시민일보 편집국장이 난생 처음 듣는 이름의 시민단체라면 그 실체가 어떤 것인지는 불 보듯 빤한 것 아니겠는가. 그런데도 각 언론은 ‘한 시민단체가 박 전 대표를 검찰에 고발했다’는 식으로 보도했다.

    마치 실체가 있는 진짜 그럴듯한(?) 시민단체가 박 전 대표를 검찰에 고발한 것처럼 여겨지는 보도다. 하지만 그 어느 누구도 그 시민단체의 정체를 밝히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 필자가 그 단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을 온통 뒤져봤지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을 정도다. 웹사이트는 고사하고, 김 모씨라는 대표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또 회원은 몇 명인지 하는 아주 기초적인 정보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

    앞으로 이와 유사한 일이 또 발생할 개연성은 얼마든지 있다.

    그렇다면 누가 이를 검증할 것인가?

    비록 한나라당내에 후보검증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그 기구가 이 모든 의혹들을 검증해 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구나 한나라당 후보에 대해서만 검증을 할 뿐, 앞으로 부각될 범여권 후보에 대해서는 검증할 방법이 없는 것 아니겠는가. 특히 팔이 안으로 굽는 법이어서 한나라당 후보에 대해 제대로 검증이 이뤄질 것으로 믿는 국민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시민들과 네티즌으로 구성된 ‘시민검증위원회’를 구성하는 게 어떨까?

    우선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매우 유익한 기구가 될 수 있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시민검증위원회의 역할은 제기된 의혹들에 대해 검증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대선과 관련해 급조될 가능성이 있는 시민단체에 대한 검증도 해야 할 것이다. 어떤 특정 후보의 사주를 받고 다른 후보의 흠집내기를 위해 존재하는 단체라면, 검찰에 고발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를 할 필요도 있다.

    아울러 검증의 방법은 당내에서 비공개적으로 진행되는 것과는 달리, 모든 것을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지금처럼 “정치적 의도가 있다”거나 “세상이 미쳐 나를 죽이려고 한다”는 식의 어이없는 해명을 하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시민검증위원회가 제기하는 의혹에 대해 당사자가 ‘네거티브’라면서 답변을 회피하려 들거나, 구체적 해명을 기피할 경우에는 그 사실을 그대로 언론에 공개하면 된다.

    정치적 의도가 없는 ‘시민검증위원회’의 활동이기 때문에 국민들에게도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뭔가 구린 구석이 있어서 답변을 회피하고 있다는 인상을 줄 뿐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각 후보 진영은 진지하게 답변 자료를 준비할 것이고, 또한 그것이 국민들로 하여금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 아니겠는가.

    만일 ‘시민검증위원회’가 구성된다면, 필자는 그 위원회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울 용의가 있다.

    단,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라는 전제조건이 선행돼야 한다.

    모쪼록 ‘시민검증위원회’가 구성되고, 그 위원회를 통해 올바른 후보검증 작업이 이뤄지기를 바랄 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