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직장인 3876명에게 ‘예상 정년과 퇴직 형태’를 조사한 결과 예상 정년은 평균 45.5세라는 발표가 있었다.
‘삼팔선(38세 퇴직)’이나 ‘사오정(45세 정년)’이란 말이 신조어가 아니라 현실용어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예상 정년이 짧아 20대는 38.5세였고, 30대는 45세, 40대는 52.8세, 50대 이상은 61.8세를 정년으로 보고 있고, 여성은 39.4세로 남성들보다 자신들의 직장수명을 훨씬 짧게 잡고 있다.
보험사들은 시비를 없애기위해 법원 판결에서 정한 직업별 정년을 기준으로 보험금을 산정한다.
임금 통계상 소득이 많고 정년이 긴 직종은 보험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반대가 되는데 재밌는 건 승려가 목사보다 5년이 더 길고 변호사 등이 70세로 가장 정년이 늦은데 비해 나이트클럽 쇼걸 등은 30세로 정년이 가장 빨리온다는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월 18일 발표한 `세계 보건 통계 2007’에 따르면 2005년 통계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78.5세로(남자 75세, 여자 82세) 전세계 194개국 중 26위를 차지했다.
북한 주민의 평균 수명은 66.5세(남자 65세, 여자 68세)로 조사됐고, 일본은 82.5세로(남자 79세, 여자 86세) 세계최장수국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반면에 37.5세로(남자 38세, 여자 37세)로 남녀를 합한 평균 수명이 가장 짧은 스와질랜드의 경우는 묘한 느낌을 준다.
나도 스와질랜드에서 태어났다면….
이처럼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로 2003년 이후 연평균 1.5세씩 늘어나는데 반해 직장 정년은 빨라지고 있다.
유럽의 중소 강국 핀란드는 정년연장 정책으로 경제 회복을 이룬 사례로 꼽히고 있다.
68세까지 일을 계속하는 사람들에게 연금 보너스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노년층을 고용해 세수입을 늘리고 연금재정도 확보하는 이중효과를 거두고 있다.
프랑스도 정년을 60세 독일은 65세 영국은 70세로 연장하였고 미국은 강제적인 은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2030년이면 65세 이상이 116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에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정년은 56.9세이고, 고령자 평균 고용률은 5.48%로 고령자 고용안정과 고용연장에 관한 법제화가 시급하다.
또한 고령화에 대비한 법제화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인생에 대한 사랑과 노력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직장에는 정년이 있지만 인생에는 정년이 없다. 매사에 목표와 열정을 갖고 노력한다면 아직 현역이다. 인생에 정년이 있다면 목표와 열정없이 노력을 멈추는 그순간부터일 것이다.
나이와는 상관없이….
‘삼팔선(38세 퇴직)’이나 ‘사오정(45세 정년)’이란 말이 신조어가 아니라 현실용어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예상 정년이 짧아 20대는 38.5세였고, 30대는 45세, 40대는 52.8세, 50대 이상은 61.8세를 정년으로 보고 있고, 여성은 39.4세로 남성들보다 자신들의 직장수명을 훨씬 짧게 잡고 있다.
보험사들은 시비를 없애기위해 법원 판결에서 정한 직업별 정년을 기준으로 보험금을 산정한다.
임금 통계상 소득이 많고 정년이 긴 직종은 보험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반대가 되는데 재밌는 건 승려가 목사보다 5년이 더 길고 변호사 등이 70세로 가장 정년이 늦은데 비해 나이트클럽 쇼걸 등은 30세로 정년이 가장 빨리온다는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월 18일 발표한 `세계 보건 통계 2007’에 따르면 2005년 통계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78.5세로(남자 75세, 여자 82세) 전세계 194개국 중 26위를 차지했다.
북한 주민의 평균 수명은 66.5세(남자 65세, 여자 68세)로 조사됐고, 일본은 82.5세로(남자 79세, 여자 86세) 세계최장수국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반면에 37.5세로(남자 38세, 여자 37세)로 남녀를 합한 평균 수명이 가장 짧은 스와질랜드의 경우는 묘한 느낌을 준다.
나도 스와질랜드에서 태어났다면….
이처럼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로 2003년 이후 연평균 1.5세씩 늘어나는데 반해 직장 정년은 빨라지고 있다.
유럽의 중소 강국 핀란드는 정년연장 정책으로 경제 회복을 이룬 사례로 꼽히고 있다.
68세까지 일을 계속하는 사람들에게 연금 보너스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노년층을 고용해 세수입을 늘리고 연금재정도 확보하는 이중효과를 거두고 있다.
프랑스도 정년을 60세 독일은 65세 영국은 70세로 연장하였고 미국은 강제적인 은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2030년이면 65세 이상이 116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에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정년은 56.9세이고, 고령자 평균 고용률은 5.48%로 고령자 고용안정과 고용연장에 관한 법제화가 시급하다.
또한 고령화에 대비한 법제화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자신의 인생에 대한 사랑과 노력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직장에는 정년이 있지만 인생에는 정년이 없다. 매사에 목표와 열정을 갖고 노력한다면 아직 현역이다. 인생에 정년이 있다면 목표와 열정없이 노력을 멈추는 그순간부터일 것이다.
나이와는 상관없이….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