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경선후보는 서울시장 재임 당시 ‘CEO시장’이라는 구호를 들고, 공무원들에게 ‘경영마인드’를 전수한답시고 온갖 호들갑을 떨어댔었다.
당시 조선일보사가 발행하는 월간조선은 인터뷰를 통해 “한 명뿐인 CEO출신 서울시장”이라며 노골적으로 ‘이비어천가’를 불러대기도 했다.
그러면 조선일보사 그토록 칭찬해대는 CEO출신 이명박은 과연 서울시를 제대로 운영해 왔는가?
이 후보는 지난 5월 29일 실시된 한나라당 경선후보 토론회에서 “제가 5조의 빚을 2조 갚고 2조원 남기고 나왔다”면서 “이게 아마 저는 역사상 처음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대한민국 예산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 측은 지하철 건설부채가 2002년도 4조 8306억원에서 2006년 2조 872억원으로 줄었다는 근거 자료를 제시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지하철 운영부채는 9037억원에서 1조 9069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이 비용은 뚝섬 상업용지를 비싼 값에 매각해 얻은 수입 1조 1262억원 등으로 갚았다.
이게 무슨 뜻인가?
간단하게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조그마한 구멍가게 사장이 가게를 잘 운영하지 못해서 크게 적자를 보았다.
그런데 마침 가진 부동산이 있어서 그것을 비싼 값에 팔아 부채를 모두 갚을 수 있었다.
그러면 이 구멍가게 사장은 가게 운영을 잘 한 것인가?
이 후보 측의 주장은 그것을 “방법이야 어찌됐든 부채가 줄었으니 잘했다”고 평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필자의 판단은 다르다.
그런 방법은 ‘CEO`로서도 옳지 않거니와 서울시민들의 복지와 삶의 질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서울시장으로서는 더욱 옳지 않다.
그가 능력 있는 ‘CEO`라면, 부동산을 처분해서 부채를 탕감하는 방식보다 지하철 운영을 잘 해서 수익을 남기고, 그 수익으로 부채를 탕감해야 맞는 것 아닌가?
특히 그는 부채를 갚기 위해, 서울시장으로서 해서는 안 될 최악의 방법을 선택하고 말았다.
서울시가 업체에 판 뚝섬 택지가격은 평당 5668만~7734만원이다.
업체들은 땅값을 감안할 때 분양가가 평당 4000만원은 돼야 수익성을 맞출 수 있다고 한다.
물론 평당 4000만원이라면 전국 최고 분양가이다.
만일 이 지역의 분양가가 평당 4000만원 수준에서 책정될 경우 강북은 물론 강남아파트 값을 자극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결국 이 후보가 서울시 부채를 탕감하기 위해 크게 이윤을 남기는 땅장사를 한 탓에 서울 전역의 아파트가가 그만큼 올라가게 생겼다는 말이다.
과연 이런 방법이 올바른 방법인가?
더구나 이 후보의 말과는 달리 서울시 부채는 사실상 줄어들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3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 부채항목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SH공사의 부채가 2006년도 12월말 기준으로 무려 6조5777억원에 달한다는 것.
물론 이 부채는 오 시장 취임 이후 발생한 부채가 아니라, 이 후보 재임시절에도 있었던 부채다. 즉 이 후보가 SH공사의 부채를 아예 서울시 부채에서 누락시켰던 것이다.
SH공사 부채가 존재하는 한 부채 원금의 상환부담과 이자부담은 당연히 서울시민의 부담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정도면 “이 후보의 ‘CEO 시장론’은 허깨비에 불과한 것”이라고 규정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다.
민병두 의원은 지난 2004년(이명박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통계청 발표 자료를 근거로 제시하면서 “경제전문가로 알려진 이 후보가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사실은 경제운용 능력이 없는 후보”라고 평가절했다.
실제 이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기간 당시 전년대비 지역총생산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였으며, 서울은 대구·제주·강원도와 함께 최하위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두그룹인 경기도(9.8%)와 충남(9.3%), 울산(9.0%) 등이 모두 9% 이상 총생산이 증가한 반면, 서울(1.1%), 대구(0.8%), 제주(0.6%), 강원(0.1%) 등은 불과 1%대를 넘지 못할 만큼 매우 저조했다.
당시 조선일보사가 발행하는 월간조선은 인터뷰를 통해 “한 명뿐인 CEO출신 서울시장”이라며 노골적으로 ‘이비어천가’를 불러대기도 했다.
그러면 조선일보사 그토록 칭찬해대는 CEO출신 이명박은 과연 서울시를 제대로 운영해 왔는가?
이 후보는 지난 5월 29일 실시된 한나라당 경선후보 토론회에서 “제가 5조의 빚을 2조 갚고 2조원 남기고 나왔다”면서 “이게 아마 저는 역사상 처음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대한민국 예산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 측은 지하철 건설부채가 2002년도 4조 8306억원에서 2006년 2조 872억원으로 줄었다는 근거 자료를 제시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지하철 운영부채는 9037억원에서 1조 9069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이 비용은 뚝섬 상업용지를 비싼 값에 매각해 얻은 수입 1조 1262억원 등으로 갚았다.
이게 무슨 뜻인가?
간단하게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조그마한 구멍가게 사장이 가게를 잘 운영하지 못해서 크게 적자를 보았다.
그런데 마침 가진 부동산이 있어서 그것을 비싼 값에 팔아 부채를 모두 갚을 수 있었다.
그러면 이 구멍가게 사장은 가게 운영을 잘 한 것인가?
이 후보 측의 주장은 그것을 “방법이야 어찌됐든 부채가 줄었으니 잘했다”고 평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필자의 판단은 다르다.
그런 방법은 ‘CEO`로서도 옳지 않거니와 서울시민들의 복지와 삶의 질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서울시장으로서는 더욱 옳지 않다.
그가 능력 있는 ‘CEO`라면, 부동산을 처분해서 부채를 탕감하는 방식보다 지하철 운영을 잘 해서 수익을 남기고, 그 수익으로 부채를 탕감해야 맞는 것 아닌가?
특히 그는 부채를 갚기 위해, 서울시장으로서 해서는 안 될 최악의 방법을 선택하고 말았다.
서울시가 업체에 판 뚝섬 택지가격은 평당 5668만~7734만원이다.
업체들은 땅값을 감안할 때 분양가가 평당 4000만원은 돼야 수익성을 맞출 수 있다고 한다.
물론 평당 4000만원이라면 전국 최고 분양가이다.
만일 이 지역의 분양가가 평당 4000만원 수준에서 책정될 경우 강북은 물론 강남아파트 값을 자극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결국 이 후보가 서울시 부채를 탕감하기 위해 크게 이윤을 남기는 땅장사를 한 탓에 서울 전역의 아파트가가 그만큼 올라가게 생겼다는 말이다.
과연 이런 방법이 올바른 방법인가?
더구나 이 후보의 말과는 달리 서울시 부채는 사실상 줄어들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3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 부채항목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SH공사의 부채가 2006년도 12월말 기준으로 무려 6조5777억원에 달한다는 것.
물론 이 부채는 오 시장 취임 이후 발생한 부채가 아니라, 이 후보 재임시절에도 있었던 부채다. 즉 이 후보가 SH공사의 부채를 아예 서울시 부채에서 누락시켰던 것이다.
SH공사 부채가 존재하는 한 부채 원금의 상환부담과 이자부담은 당연히 서울시민의 부담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정도면 “이 후보의 ‘CEO 시장론’은 허깨비에 불과한 것”이라고 규정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다.
민병두 의원은 지난 2004년(이명박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통계청 발표 자료를 근거로 제시하면서 “경제전문가로 알려진 이 후보가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사실은 경제운용 능력이 없는 후보”라고 평가절했다.
실제 이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기간 당시 전년대비 지역총생산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였으며, 서울은 대구·제주·강원도와 함께 최하위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두그룹인 경기도(9.8%)와 충남(9.3%), 울산(9.0%) 등이 모두 9% 이상 총생산이 증가한 반면, 서울(1.1%), 대구(0.8%), 제주(0.6%), 강원(0.1%) 등은 불과 1%대를 넘지 못할 만큼 매우 저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