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한반도대운하가 4.9총선을 코앞에 둔 한나라당의 발목을 잡고 말았다.
각 당 정치인들은 물론, 한나라당마저 한반도대운하는 안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전문가집단인 교수들도 “큰일 날 일”이라며 극구반대하고 있다.
특히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마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상태다.
심지어 지난 25일에는 ‘대운하 전도사’ 이재오 전 최고위원까지 꼬리를 내렸다. 그는 이날 총선 출마를 선언하며 “운하 반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국민의 뜻을 직접 묻는 방법을 택할 것을 건의하겠다”고 ‘국민투표’론 제안했다.
그런데도 유독 이명박 대통령 혼자만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밀어붙일 태세다.
우선 박근혜 전 대표는 지난 25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표공약으로 지금도 추진의지를 밝히고 있는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대운하는 경선때부터 반대했다. 지금도 그 입장에는 변함없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도 26일 기자회견에서 ""경부운하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다. 당의 명운을 걸고 싸우겠다. 학계, 시민사회, 종교단체 등 경부운하를 반대하는 제 정당, 단체와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임종석 의원 등 민주당 소속의원 47명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만일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반수 의석을 획득하면 가장 먼저 '한반도대운하 특별법'제정을 추진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면서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날 전국 70여개 대학 1800여명의 교수들도 ""진리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자로서 잘못된 정책으로 국민을 현혹하는 것을 좌시할 수 없다""며""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아름다운 국토와 환경을 파괴하고 국민들 사이에 혼란과 갈등을 조장한 한반도대운하 사업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검증 없는 한반도대운하 추진을 반대한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4일 국토해양부 업무보고에서 “국토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소극적 입장이 아니라 큰 입장에서 구조를 한 번 바꿔놓을 필요가 있다”고 재차 ‘국토대개조’론을 설파했다.
이는 대운하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처럼 이명박 대통령의 대운하 추진의사는 매우 강력하다. 이미 정부조직까지 틀이 짜진 상태다.
실제 이명박 정부의 대운하 정책을 뒷받침하는 중앙 부처의 최일선 조직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모르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최근 국토해양부는 조직개편을 통해 건설수자원정책실 산하에 ‘운하지원팀’을 신설 운하건설의 의지를 구체화했다
운하지원팀은 1차관-건설수자원정책실-수자원정책관 지휘를 받으며 일단 5명 정도로 출발한다. 팀의 업무는 모두 10가지. 이 중 9가지는 경인운하와 굴포천 방수로 사업 등 모두 운하관련 사항이다.
앞서 지난 11일 단행한 과장급 인사에서는 안정훈 전 부산국토관리청 포항국도관리사무소장을 운하지원팀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이미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대운하를 은밀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나라당 이한구 정책위의장 역시 26일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한반도 대운하가 빠졌다고 해서 안 하는 것은 아니다”고 솔직하게 고백했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총선 공약집에서 이를 뺀 것은 ‘눈 가리고 아옹’하는 격에 불과하다.
차라리 한나라당은 이를 총선공약으로 제시해, 국민들의 찬반의견을 물었어야 옳았다.
대선 때는 마치 대운하가 국민들에게 꿈을 갖다 줄 것처럼 하다가 총선 때는 불리해 보이니까 빼겠다는 것은 온당치 못하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이상득 국회부의장 불출마를 촉구했던 이른바 ‘충신’이라는 한나라당 소장파 55명은 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가?
이 부의장 총선불출마 요구가 당권을 둘러싼 암투가 아니라, 진정으로 나라를 위한 충정에서 비롯된 일이라면 당연히 대운하반대를 위한 기자회견도 한번 쯤 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당장 55명의 서명을 받고 대운하 반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어라.
만일 그런 용기마저 없다면, 당초 약속대로 차라리 공천장을 당에 반납하는 게 어떨지, 남경필,정두언,진수희 의원 등 자칭 충신이라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각 당 정치인들은 물론, 한나라당마저 한반도대운하는 안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전문가집단인 교수들도 “큰일 날 일”이라며 극구반대하고 있다.
특히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마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상태다.
심지어 지난 25일에는 ‘대운하 전도사’ 이재오 전 최고위원까지 꼬리를 내렸다. 그는 이날 총선 출마를 선언하며 “운하 반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국민의 뜻을 직접 묻는 방법을 택할 것을 건의하겠다”고 ‘국민투표’론 제안했다.
그런데도 유독 이명박 대통령 혼자만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밀어붙일 태세다.
우선 박근혜 전 대표는 지난 25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대표공약으로 지금도 추진의지를 밝히고 있는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대운하는 경선때부터 반대했다. 지금도 그 입장에는 변함없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도 26일 기자회견에서 ""경부운하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다. 당의 명운을 걸고 싸우겠다. 학계, 시민사회, 종교단체 등 경부운하를 반대하는 제 정당, 단체와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임종석 의원 등 민주당 소속의원 47명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만일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반수 의석을 획득하면 가장 먼저 '한반도대운하 특별법'제정을 추진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면서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날 전국 70여개 대학 1800여명의 교수들도 ""진리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자로서 잘못된 정책으로 국민을 현혹하는 것을 좌시할 수 없다""며""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아름다운 국토와 환경을 파괴하고 국민들 사이에 혼란과 갈등을 조장한 한반도대운하 사업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검증 없는 한반도대운하 추진을 반대한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4일 국토해양부 업무보고에서 “국토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소극적 입장이 아니라 큰 입장에서 구조를 한 번 바꿔놓을 필요가 있다”고 재차 ‘국토대개조’론을 설파했다.
이는 대운하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처럼 이명박 대통령의 대운하 추진의사는 매우 강력하다. 이미 정부조직까지 틀이 짜진 상태다.
실제 이명박 정부의 대운하 정책을 뒷받침하는 중앙 부처의 최일선 조직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모르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최근 국토해양부는 조직개편을 통해 건설수자원정책실 산하에 ‘운하지원팀’을 신설 운하건설의 의지를 구체화했다
운하지원팀은 1차관-건설수자원정책실-수자원정책관 지휘를 받으며 일단 5명 정도로 출발한다. 팀의 업무는 모두 10가지. 이 중 9가지는 경인운하와 굴포천 방수로 사업 등 모두 운하관련 사항이다.
앞서 지난 11일 단행한 과장급 인사에서는 안정훈 전 부산국토관리청 포항국도관리사무소장을 운하지원팀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이미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대운하를 은밀하게 추진하고 있다는 말이다.
한나라당 이한구 정책위의장 역시 26일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한반도 대운하가 빠졌다고 해서 안 하는 것은 아니다”고 솔직하게 고백했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총선 공약집에서 이를 뺀 것은 ‘눈 가리고 아옹’하는 격에 불과하다.
차라리 한나라당은 이를 총선공약으로 제시해, 국민들의 찬반의견을 물었어야 옳았다.
대선 때는 마치 대운하가 국민들에게 꿈을 갖다 줄 것처럼 하다가 총선 때는 불리해 보이니까 빼겠다는 것은 온당치 못하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이상득 국회부의장 불출마를 촉구했던 이른바 ‘충신’이라는 한나라당 소장파 55명은 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가?
이 부의장 총선불출마 요구가 당권을 둘러싼 암투가 아니라, 진정으로 나라를 위한 충정에서 비롯된 일이라면 당연히 대운하반대를 위한 기자회견도 한번 쯤 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당장 55명의 서명을 받고 대운하 반대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어라.
만일 그런 용기마저 없다면, 당초 약속대로 차라리 공천장을 당에 반납하는 게 어떨지, 남경필,정두언,진수희 의원 등 자칭 충신이라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