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등세를 보여온 강북발 집값 상승세가 경기 북부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강북발 집값이 최근 경기 북부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소형 아파트에서 중대형 아파트로까지 동반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주일 사이에 1000만원씩 오르는 등 집값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최근 몇 달 동안 급등세를 보였던 강북발 집값은 단기 급등에 따른 실수요자들의 부담과 4.11 강북 집값 안정대책 등의 영향으로 잠잠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경기 북부지역 가운데, 일산시 백송동 백송건영빌라 72㎡는 최근 일주일새 250만원이 올라 1억6500만∼1억8500만원에, 대림 59㎡는 1000만원 오른 1억4000만∼1억6000만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일산 정발산동 밤가시건영빌라 7단지 72㎡는 일주일만에 500만원 오른 2억2000만∼2억3000만원, 마두동 백마삼성 161㎡는 2500만원 오른 8억5000만∼10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또 고양시 행신동 소만부영9단지 59㎡는 1000만원이 올라 1억1000만∼1억5000만원, 햇빛주공23단지 72㎡는 1250만원 가량이 올라 1억4500만∼1억7000만원 가량이다.
미분양이 대거 쌓여 있는 남양주시도 최근에는 아파트값 오름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남양주시 금곡동 미라보 105㎡는 1000만원이 올라 1억9000만∼2억3000만원, 와부읍 덕소아이파크 168㎡는 2000만원이 올라 6억∼8억원이다.
특히 제2경부고속도로와 외곽순환도로 등 교통 호재가 있는 호평동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다. 호평동 대주파크빌은 모든 주택형에서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1000만원씩 올랐다. 115㎡ 매매가와 전세가는 각각 2억7000만∼3억6000만원, 1억∼1억1000만원 수준이다.
양주시도 옥정신도시 개발 등 개발 호재가 합세하면서 수요층의 관심이 커져, 지역 전반에 걸쳐 매매와 전세 모두 오름세를 나타냈다. 고읍동 TS푸른솔2차 109㎡는 1000만원 올라 1억7000만∼1억8000만원이고, 현대 168㎡는 2500만원 올라 2억8000만∼3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외곽순환도로 개통으로 의정부시의 인기도 꾸준하다. 의정부시 민락동 주공2단지 69㎡는 1000만원이 올라 1억1000만∼1억3500만원, 송산주공2단지 62㎡는 1500만원 올라 1억7500만∼1억9500만원 수준이다.
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강북 소형아파트 강세로 인접한 경기 북부지역의 동반상승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경기 북부지역은 강북과 마찬가지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보상심리 작용과 강북권 재개발 이주 수요가 유입한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강북발 집값이 최근 경기 북부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소형 아파트에서 중대형 아파트로까지 동반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주일 사이에 1000만원씩 오르는 등 집값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최근 몇 달 동안 급등세를 보였던 강북발 집값은 단기 급등에 따른 실수요자들의 부담과 4.11 강북 집값 안정대책 등의 영향으로 잠잠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경기 북부지역 가운데, 일산시 백송동 백송건영빌라 72㎡는 최근 일주일새 250만원이 올라 1억6500만∼1억8500만원에, 대림 59㎡는 1000만원 오른 1억4000만∼1억6000만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일산 정발산동 밤가시건영빌라 7단지 72㎡는 일주일만에 500만원 오른 2억2000만∼2억3000만원, 마두동 백마삼성 161㎡는 2500만원 오른 8억5000만∼10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또 고양시 행신동 소만부영9단지 59㎡는 1000만원이 올라 1억1000만∼1억5000만원, 햇빛주공23단지 72㎡는 1250만원 가량이 올라 1억4500만∼1억7000만원 가량이다.
미분양이 대거 쌓여 있는 남양주시도 최근에는 아파트값 오름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남양주시 금곡동 미라보 105㎡는 1000만원이 올라 1억9000만∼2억3000만원, 와부읍 덕소아이파크 168㎡는 2000만원이 올라 6억∼8억원이다.
특히 제2경부고속도로와 외곽순환도로 등 교통 호재가 있는 호평동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다. 호평동 대주파크빌은 모든 주택형에서 매매가와 전세가 모두 1000만원씩 올랐다. 115㎡ 매매가와 전세가는 각각 2억7000만∼3억6000만원, 1억∼1억1000만원 수준이다.
양주시도 옥정신도시 개발 등 개발 호재가 합세하면서 수요층의 관심이 커져, 지역 전반에 걸쳐 매매와 전세 모두 오름세를 나타냈다. 고읍동 TS푸른솔2차 109㎡는 1000만원 올라 1억7000만∼1억8000만원이고, 현대 168㎡는 2500만원 올라 2억8000만∼3억원을 호가하고 있다.
외곽순환도로 개통으로 의정부시의 인기도 꾸준하다. 의정부시 민락동 주공2단지 69㎡는 1000만원이 올라 1억1000만∼1억3500만원, 송산주공2단지 62㎡는 1500만원 올라 1억7500만∼1억9500만원 수준이다.
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강북 소형아파트 강세로 인접한 경기 북부지역의 동반상승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경기 북부지역은 강북과 마찬가지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보상심리 작용과 강북권 재개발 이주 수요가 유입한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