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고객은 월 수령액을 해마다 늘려 받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12일 주택연금 이용자들의 상품 선택폭을 한층 넓히기 위해 연금 지급방식을 이처럼 다양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행되는 연금 증가형 상품은 평생 동안 고정액을 나누어 지급하는 현행 방식과 달리 월 수령액이 매년 3%씩 증가하는 형태다.
대신 가입 초기에는 현행 방식보다 월 수령액이 적으며, 대략 10년 정도가 지나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3억 원짜리 집을 가진 75세 가입자는 현행 방식은 평생 133만원의 고정액을 받지만, 증가형 옵션은 가입년도에 106만원부터 시작해 5년 후 123만원, 10년 후 143만원, 15년 후 165만원을 수령하게 된다.
한국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증가형 옵션을 선택하면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실질구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가입초기 약 10년 동안은 월 수령액이 적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노후생활비의 수요를 감안해 장단점을 잘 따져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사는 처음에는 많이 받다가 나중에 적게 받는 체감형 옵션도 이르면 하반기 중에 선보일 예정이다. 이 경우 매년 금액을 조정하지 않고 5∼10년 마다 한번 씩 줄여 나가는 형태로 상품을 설계할 계획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12일 주택연금 이용자들의 상품 선택폭을 한층 넓히기 위해 연금 지급방식을 이처럼 다양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시행되는 연금 증가형 상품은 평생 동안 고정액을 나누어 지급하는 현행 방식과 달리 월 수령액이 매년 3%씩 증가하는 형태다.
대신 가입 초기에는 현행 방식보다 월 수령액이 적으며, 대략 10년 정도가 지나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3억 원짜리 집을 가진 75세 가입자는 현행 방식은 평생 133만원의 고정액을 받지만, 증가형 옵션은 가입년도에 106만원부터 시작해 5년 후 123만원, 10년 후 143만원, 15년 후 165만원을 수령하게 된다.
한국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증가형 옵션을 선택하면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실질구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가입초기 약 10년 동안은 월 수령액이 적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노후생활비의 수요를 감안해 장단점을 잘 따져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사는 처음에는 많이 받다가 나중에 적게 받는 체감형 옵션도 이르면 하반기 중에 선보일 예정이다. 이 경우 매년 금액을 조정하지 않고 5∼10년 마다 한번 씩 줄여 나가는 형태로 상품을 설계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