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말로 접어들면서 강남 재건축 아파트 급매물이 속출하는 등 호가가 속수무책으로 하락하고 있다. 대규모 재건축 사업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올 한해 만 강남 일대에서 2만7000여 가구에 달하는 입주물량이 쏟아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신규아파트는 시장 분위기가 비교적 양호하다. 이사철 이주수요가 마무리 돼 거래빈도는 감소했지만 1 주택자 비중이 높아 강보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의 이번 주 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0.16%, 신도시 -0.07%, 경기 0.12%, 인천 0.16%의 변동률을 기록해, 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고른 오름세를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는 서울이 0.07% 하락했고, 경기는 0.06% 상승했다.
서울은 뉴타운 일대 호가 상승폭이 다시 커졌다. 구별로는 중랑구(0.84%), 도봉구(0.80%), 마포구(0.73%)가 큰 폭으로 올랐고, 성북구(0.40%), 금천구(0.40%), 노원구(0.40%), 강북구(0.36%) 등이 뒤를 이었다.
중랑구는 지난주 보다 상승폭이 세 배 가량 커진 가운데 중화동 일대가 특히 강세다. 마포구는 가재울뉴타운 관리 처분계획 인가를 앞두고 주민들의 기대감이 크게 증가했다. 개별단지로는 중화동 한신 82㎡(25평형)는 한 주 동안 2000만원 오른 2억5000만∼2억8000만원, 마포구 성산동 성산시영대우 72㎡(22평형)는 3500만원 오른 4억∼4억2000만원 선이다.
강동구(-0.20%), 송파구(-0.16%), 강남구(-0.06%), 서초구(-0.04%)는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시적 2주택자 양도세 회피 매물이 증가하고 있는 데다 잠실, 서초 대단지 입주물량이 출시될 예정이어서 수급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대치동 은마 102㎡(31평형)는 1500만원 하락한 9억5000만∼10억5000만원, 잠실동 주공5단지 112㎡(34평형)는 2000만원 하락한 11억3000만∼11억8000만원 선에 각각 시세를 형성했다.
신도시는 평촌과 분당이 각각 0.26%, 0.11% 하락해 3주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강남 아파트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가격이 높은 지역 위주로 호가가 하향 조정됐다.
경기는 북부지역이 압도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동두천시(1.86%), 양주시(1.16%), 의정부시(1.10%)가 많이 올랐다. 뒤를 이은 남양주시(0.37%), 여주군(0.21%), 평택시(0.20%)와도 상승률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동두천시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주간변동률 최고치를 기록했다. 과천시는 0.12% 하락했다.
인천 역시 재개발 지역이 강세를 보여 계양구가 금주 0.45%를 기록,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이어 남구(0.30%), 부평구(0.26%), 서구(0.14%) 순으로 올랐다.
반면에 신규아파트는 시장 분위기가 비교적 양호하다. 이사철 이주수요가 마무리 돼 거래빈도는 감소했지만 1 주택자 비중이 높아 강보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4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의 이번 주 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0.16%, 신도시 -0.07%, 경기 0.12%, 인천 0.16%의 변동률을 기록해, 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고른 오름세를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는 서울이 0.07% 하락했고, 경기는 0.06% 상승했다.
서울은 뉴타운 일대 호가 상승폭이 다시 커졌다. 구별로는 중랑구(0.84%), 도봉구(0.80%), 마포구(0.73%)가 큰 폭으로 올랐고, 성북구(0.40%), 금천구(0.40%), 노원구(0.40%), 강북구(0.36%) 등이 뒤를 이었다.
중랑구는 지난주 보다 상승폭이 세 배 가량 커진 가운데 중화동 일대가 특히 강세다. 마포구는 가재울뉴타운 관리 처분계획 인가를 앞두고 주민들의 기대감이 크게 증가했다. 개별단지로는 중화동 한신 82㎡(25평형)는 한 주 동안 2000만원 오른 2억5000만∼2억8000만원, 마포구 성산동 성산시영대우 72㎡(22평형)는 3500만원 오른 4억∼4억2000만원 선이다.
강동구(-0.20%), 송파구(-0.16%), 강남구(-0.06%), 서초구(-0.04%)는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일시적 2주택자 양도세 회피 매물이 증가하고 있는 데다 잠실, 서초 대단지 입주물량이 출시될 예정이어서 수급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대치동 은마 102㎡(31평형)는 1500만원 하락한 9억5000만∼10억5000만원, 잠실동 주공5단지 112㎡(34평형)는 2000만원 하락한 11억3000만∼11억8000만원 선에 각각 시세를 형성했다.
신도시는 평촌과 분당이 각각 0.26%, 0.11% 하락해 3주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강남 아파트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가격이 높은 지역 위주로 호가가 하향 조정됐다.
경기는 북부지역이 압도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동두천시(1.86%), 양주시(1.16%), 의정부시(1.10%)가 많이 올랐다. 뒤를 이은 남양주시(0.37%), 여주군(0.21%), 평택시(0.20%)와도 상승률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동두천시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주간변동률 최고치를 기록했다. 과천시는 0.12% 하락했다.
인천 역시 재개발 지역이 강세를 보여 계양구가 금주 0.45%를 기록,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졌고, 이어 남구(0.30%), 부평구(0.26%), 서구(0.14%) 순으로 올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