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깊은 시름에 잠긴 것 같다.
이 시점에서 과연 어떻게 하는 게 올바른 선택일까?
어떤 길로 나아가는 것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될까?
이런 문제를 두고 아무리 고민을 해도 해법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 해법이 없는 게 아니라, 해법을 제시해도 MB나 한나라당 지도부가 도무지 말귀를 못 알아들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실제 박 전 대표는 여러 차례에 걸쳐 MB에게 이 난국을 뚫고 나아갈 수 있는 비법을 알려주었다.
우선 박 전 대표는 최근 수십만 인파가 모이는 촛불시위와 관련, “쇠고기 협상 전후에 보인 정부의 자세와 태도에 문제가 있으며, 해결방법이 재협상 밖에 없다면 재협상을 해야 한다”고 분명하게 ‘재협상 하라’고 알려주었다.
그런데도 MB는 “재협상은 곤란하다”며,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무시하고 말았다.
또 국민을 짜증나게 만드는 대운하와 관련, 박근혜 전 대표는 경선 이후 한 지역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선 때부터 반대했고 지금도 그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분명하게 밝혔었다.
그런데도 MB는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대통령 취임 이후 은밀하게 추진팀을 구성하는가 하면, 비밀리에 용역까지 주었다가 발각돼 지탄을 받고 있다.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MB는 여전히 “대운하 포기”를 선언하지 않고 있다.
다만 국민여론이 잠잠해질 때까지 유보시켰을 뿐이다.
이러니 박 전 대표로서도 어찌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만 것이다.
만일 아마추어인 MB가 국정경험이 노련한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받아들여, 재협상을 추진하고 대운하 포기를 선언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국정혼란은 없었을 것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마찬가지다.
박근혜 전 대표는 공천 때부터 “원칙과 기준을 갖고 분명하게 해 달라”고 구체적으로 요구했었다.
그런데도 당 지도부는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실제 당은 낙천자들이 승복하기 어려운 ‘엉터리 공천’을 자행했고, 그로 인해 한 때 200석 이상을 자신했던 한나라당은 가까스로 153석을 얻는 데 그쳤을 뿐이다.
지금도 지지율이 급락해 통합민주당과 겨우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형국이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박 전 대표는 일괄복당을 요구했다.
그런데 당 지도부는 이마저 외면하고 말았다.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선별복당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박 전 대표는 또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총리론’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박 전 대표가 지난 1월 2일 분명하게 “총리, 안 한다”고 못 박은 바 있다.
총리가 되어 봤자 말을 듣지 않는 MB의 성품으로 인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역할에 한계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박 전 대표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그가 어떻게 해야만 국민들이 이 지긋지긋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일단 MB의 독주를 제재할 수 있는 선택이라야 한다.
그의 동반자가 되어 그의 독주를 돕는 역할을 할 경우, 국민들은 더 큰 고통을 겪어야 하기 때문이다.
MB 독주에 제동을 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국회에 있다.
즉 원내 1당인 한나라당이 국회 내에서 MB 정부의 잘못을 시정토록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MB는 현재 한나라당 소속이다.
따라서 눈치꾼들이 잔뜩 모여 있는 한나라당 내에서 MB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를 기대하기는 어렵게 됐다.
그러면 박 전 대표는 한나라당을 떠나야 하는가?
아직은 아니다.
박 전대표가 떠나는 게 아니라, MB가 떠나도록 만들면 된다.
한나라당 지지율을 반 토막 낸 책임을 물어 자진 탈당을 유도하든지, 아니면 윤리위에 회부해 출당 조치시키면 된다.
한나라당 내에서 그런 움직임이 나오도록 만들면 된다.
차기 지방선거와 잇달아 있을 재.보궐선거 등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음을 알리면 된다.
그래도 말을 듣지 않으면, 지지율 20%대인 한나라당을 버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박 전 대표가 신당을 창당할 경우, 당장 한나라당을 능가하는 지지율을 얻을 수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원내 1당이면서도 민주당보다 지지도가 낮은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박 전 대표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분명한 것은 박 전 대표의 선택은 ‘MB가 아니라 국민’이라는 사실이다.
이 시점에서 과연 어떻게 하는 게 올바른 선택일까?
어떤 길로 나아가는 것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될까?
이런 문제를 두고 아무리 고민을 해도 해법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 해법이 없는 게 아니라, 해법을 제시해도 MB나 한나라당 지도부가 도무지 말귀를 못 알아들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실제 박 전 대표는 여러 차례에 걸쳐 MB에게 이 난국을 뚫고 나아갈 수 있는 비법을 알려주었다.
우선 박 전 대표는 최근 수십만 인파가 모이는 촛불시위와 관련, “쇠고기 협상 전후에 보인 정부의 자세와 태도에 문제가 있으며, 해결방법이 재협상 밖에 없다면 재협상을 해야 한다”고 분명하게 ‘재협상 하라’고 알려주었다.
그런데도 MB는 “재협상은 곤란하다”며,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무시하고 말았다.
또 국민을 짜증나게 만드는 대운하와 관련, 박근혜 전 대표는 경선 이후 한 지역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선 때부터 반대했고 지금도 그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분명하게 밝혔었다.
그런데도 MB는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대통령 취임 이후 은밀하게 추진팀을 구성하는가 하면, 비밀리에 용역까지 주었다가 발각돼 지탄을 받고 있다.
물론 이런 상황에서도 MB는 여전히 “대운하 포기”를 선언하지 않고 있다.
다만 국민여론이 잠잠해질 때까지 유보시켰을 뿐이다.
이러니 박 전 대표로서도 어찌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만 것이다.
만일 아마추어인 MB가 국정경험이 노련한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받아들여, 재협상을 추진하고 대운하 포기를 선언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국정혼란은 없었을 것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마찬가지다.
박근혜 전 대표는 공천 때부터 “원칙과 기준을 갖고 분명하게 해 달라”고 구체적으로 요구했었다.
그런데도 당 지도부는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실제 당은 낙천자들이 승복하기 어려운 ‘엉터리 공천’을 자행했고, 그로 인해 한 때 200석 이상을 자신했던 한나라당은 가까스로 153석을 얻는 데 그쳤을 뿐이다.
지금도 지지율이 급락해 통합민주당과 겨우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형국이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박 전 대표는 일괄복당을 요구했다.
그런데 당 지도부는 이마저 외면하고 말았다.
심사위원회를 구성해 선별복당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박 전 대표는 또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근혜 총리론’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박 전 대표가 지난 1월 2일 분명하게 “총리, 안 한다”고 못 박은 바 있다.
총리가 되어 봤자 말을 듣지 않는 MB의 성품으로 인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역할에 한계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박 전 대표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그가 어떻게 해야만 국민들이 이 지긋지긋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일단 MB의 독주를 제재할 수 있는 선택이라야 한다.
그의 동반자가 되어 그의 독주를 돕는 역할을 할 경우, 국민들은 더 큰 고통을 겪어야 하기 때문이다.
MB 독주에 제동을 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국회에 있다.
즉 원내 1당인 한나라당이 국회 내에서 MB 정부의 잘못을 시정토록 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MB는 현재 한나라당 소속이다.
따라서 눈치꾼들이 잔뜩 모여 있는 한나라당 내에서 MB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를 기대하기는 어렵게 됐다.
그러면 박 전 대표는 한나라당을 떠나야 하는가?
아직은 아니다.
박 전대표가 떠나는 게 아니라, MB가 떠나도록 만들면 된다.
한나라당 지지율을 반 토막 낸 책임을 물어 자진 탈당을 유도하든지, 아니면 윤리위에 회부해 출당 조치시키면 된다.
한나라당 내에서 그런 움직임이 나오도록 만들면 된다.
차기 지방선거와 잇달아 있을 재.보궐선거 등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하려면 그 방법밖에 없음을 알리면 된다.
그래도 말을 듣지 않으면, 지지율 20%대인 한나라당을 버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박 전 대표가 신당을 창당할 경우, 당장 한나라당을 능가하는 지지율을 얻을 수 있다.
반면 한나라당은 원내 1당이면서도 민주당보다 지지도가 낮은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박 전 대표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분명한 것은 박 전 대표의 선택은 ‘MB가 아니라 국민’이라는 사실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