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신문보다 네티즌이 强하다

    고하승 칼럼 / 시민일보 / 2008-06-24 11:37:15
    • 카카오톡 보내기
    편집국장 고 하 승
    최근 여론왜곡을 일삼는 일부 불량신문에 광고를 게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네티즌들이 “이대로는 안 된다”며 불매운동에 나섰다.

    그런데 MB 정부가 이들 신문들을 보호하기 위해 공권력을 발동, 네티즌의 입을 틀어막으려 하고 있다. 검찰이 지난 20일 조선·중앙·동아일보에 대한 네티즌들의 광고주 압박운동에 대해 전면 수사와 단속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실제 법무부는 최근 “네티즌들이 광고를 중단하도록 위협하는 행위가 있다면 단속을 해서 정상적인 기업 활동을 보호하라”고 지시했고, 검찰은 “신문사의 소나 고발이 없어도 경영에 손실을 끼치는 행위가 분명하다면 조사하겠다”는 강경 대응방침을 밝히고 있다.

    이에 앞서 한나라당도 네티즌들이 쇠고기 파동과 촛불집회에 대한 보수신문들의 보도태도에 대한 불만을 광고주 압박 형태의 소비자 주권운동으로 전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신종 언론 탄압’으로 규정, 인터넷 실명제 강화 등 네티즌 활동에 대한 각종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즉 정부와 한나라당의 인터넷 통제 방안 검토에 이어 검찰까지 가세, 네티즌들에게 재갈을 물리겠다는 뜻 아니겠는가?

    이는 마치 불량신문이 불량정권의 탄생을 도왔고, 그 대가로 불량정권은 이들 불량신문을 보호해 주는 공생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여간 씁쓸한 게 아니다.

    사실 네티즌들의 특정신문에 대한 불매운동은 지극히 정상적인 소비자의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자신의 주권을 위해 불량식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할 수 있듯이, 불량신문에 대해서도 당연히 불매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불량신문은 어떤 면에서 불량식품보다 더 해악이 크다.

    만일 한나라당 경선 과정에서 이들 신문사들이 정상적인 보도행태만 보였어도, 불과 취임 100일만에 지지율이 한자리수로 떨어질 만큼 형편없는 불량정권이 탄생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인 구독자들이 불량신문에 대해 “여론을 호도하지 말고, 잘 하라”고 압력을 행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시장정상화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영업방해 행위로 보는 시각 자체가 잘못이라는 말이다.

    더구나 법조계 안팎에서도 검찰이 광고주에게 광고 중단을 요구하는 전화 등을 처벌하겠다
    는 것에 대해 '무리한 수사'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마당이다.

    인터넷에 게재된 불량신문 광고주의 명단을 보고 전화를 건 사람에 대해 업무방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가 성립될 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검찰이 고소·고발 없이도 먼저 수사에 나서겠다는 것은 참으로 황당한 조치가 아닐 수 없다.

    오죽하면 대검찰청 홈페이지의 자유게시판 '국민의 소리'에 '검찰이 조중동의 비호세력인가'라는 내용의 글이 줄을 잇겠는가.

    특히 일부 포털사이트의 경우, “광고압박게시물을 삭제해 달라”는 신문사의 요청에 따라 일시 열람중단조치를 내린 것도 문제다.

    이와 관련, 동아일보는 광고국장 명의로 기업 광고담당자들에게 e메일을 보내 “이런 일(광고주 압박운동)들은 일부 좌파 세력이 중심이 돼 추진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네티즌과 인터넷 포털 업체들에 법적 책임을 묻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결코 네티즌의 입을 봉쇄할 수 없다는 걸 알아야 한다.

    오히려 불량정권과 불량신문의 결탁은 네티즌들의 분노를 더욱 자극할 뿐이다.

    대검찰청 게시판에 '자수'하겠다는 네티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게 그 단적인 사례일 것이다.

    이제라도 MB 정권이 ‘불량정권’이라는 오명을 벗고자 한다면, 법무부와 검찰이 나서서 불량신문에 보은(報恩)하려는 태도를 당장 버려야 한다.

    특히 그들의 왜곡된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보다는 인터넷에서 생생하게 전달되는 넷심(心)에 귀를 기울이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 거듭 말하지만 불량신문보다 네티즌의 진실이 더 강(强)하다.

    아울러 정부는 이번 기회에 네티즌들의 입을 틀어막는 공직선거법 개정에 앞장서는 진지한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