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촛불집회 강경 진압의 책임을 물어 어청수 경찰청장의 해임을 요구해 왔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한진희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전격 교체되고 말았다.
그 경질 이유가 가관이다.
촛불집회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
물론 조용연 경찰청 경무기획국장은 지난 22일 “한진희 서울청장이 며칠 전 어청수 경찰청장에게 보직 변경을 스스로 건의했다”며 “촛불집회와 관련한 경비를 지휘하면서 피로가 누적됐다는 게 이유”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경찰청의 해명을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한 청장은 지난 3월초에 부임한 사람이다.
무임한지 채 몇 개월도 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더구나 그는 올해 말 정년퇴직을 앞두고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피로누적’이라는 이유로 그것도 ‘갑자기 무리하게’ 교체할만한 정당한 명분을 찾기가 쉽지 않다.
한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며칠 전 어청수 청장이 전국의 모든 간부들이 지켜보고 있는 화상회의에서 ‘촛불집회 때 법과 원칙대로 대응하지 않는다’면서 촛불시위 초기시위 당시 유연하게 대응한 한진희 청장을 심하게 질책한 사실이 있었다고 한다.
그것이 한 청장이 문책을 당하는 요인이 아니겠느냐는 것.
그렇다면 결국 촛불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 책임자를 문책하라는 시민·사회단체의 요구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문책이 이뤄진 셈이다.
필자가 판단하기에는 촛불시위 초기에 유연하게 대응했던 한 청장에게는 상을 주여야 할 판이다.
오히려 ‘강경진압’을 주문한 어청수 청장이 경질되는 게 맞다.
그로 인해 촛불시위가 격화되었고, 국민의 분노가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한진희 청장의 경질이 경찰의 강경 대응에 대한 외부의 비판 여론을 어 청장이 아닌 한 청장에게 돌리는 일종의 ‘대리 경질’이라면 이는 결코 묵과할 수 없다.
오죽하면 민주당이 이날 논평을 내고 “경제 파탄의 주인공인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대신 차관을 대리 경질하더니, 이번에는 어청수 청장을 보호하기 위해 돌려막기 식 땜질 인사를 단행했다”고 비판했겠는가.
만일 그것이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 측의 신임을 받는 사람을 핵심 보직에 앉히는 술책이라면 더욱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실제 새 서울경찰청장으로 내정된 경북 경주 출신의 김석기 경찰청 차장은 현 정부 실세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대구 대륜고 후배로, 새 정부 출범 초기부터 차기 경찰청장 1순위 후보로 꼽혀왔던 사람이다.
그래서 아무 죄 없는 한 청장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김 내정자를 앉히려는 음모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견해가 많다.
이들 세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든, 아니면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되든 이것은 정도가 아니다.
분명히 말하거니와 촛불시위는 유연한 대응이 문제가 아니라, 강경대응이 문제다.
한 청장의 방식이 옳았고, 어청장의 방식이 틀렸다는 말이다.
따라서 굳이 책임소재를 따지자면 문책을 당해야 사람은 한 청장이 아니라, 어 청장이다.
설사 한 청장을 경질했다고 해서, 어 청장이 시민.사회단체의 빗발치는 문책 요구를 피해 갈수는 없다.
오히려 ‘대리경질’의혹으로 인해 시민.사회단체의 분노가 더욱 커질지도 모른다.
유연하게 대응한 한 청장이 문책을 받았다면, 강경진압으로 촛불시위를 확대한 어 청장은 그보다 더 심한 문책을 당하는 게 맞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과 손발이 잘 맞는 사람을 그 자리에 앉히기 위해 죄 없는 한 사람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이라면, 이는 결코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 국민이 이명박 정부에게 기대하는 것은 별로 없다.
경제발전은 이미 물 건너 간 것 같고, 물가도 좀처럼 잡힐 것 같지 않다.
어쩌면 국민은 그런 것은 아예 기대조차 하지 않고 있는지 모른다.
다만 ‘꼼수’가 아니라, 조금이라도 신뢰 있는 모습만 보여 달라는 것이다.
이번 한진희 경질 역시 필자는 ‘꼼수 경질’에 불과하다는 판단이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한진희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전격 교체되고 말았다.
그 경질 이유가 가관이다.
촛불집회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지 못했다는 것.
물론 조용연 경찰청 경무기획국장은 지난 22일 “한진희 서울청장이 며칠 전 어청수 경찰청장에게 보직 변경을 스스로 건의했다”며 “촛불집회와 관련한 경비를 지휘하면서 피로가 누적됐다는 게 이유”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경찰청의 해명을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한 청장은 지난 3월초에 부임한 사람이다.
무임한지 채 몇 개월도 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더구나 그는 올해 말 정년퇴직을 앞두고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피로누적’이라는 이유로 그것도 ‘갑자기 무리하게’ 교체할만한 정당한 명분을 찾기가 쉽지 않다.
한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며칠 전 어청수 청장이 전국의 모든 간부들이 지켜보고 있는 화상회의에서 ‘촛불집회 때 법과 원칙대로 대응하지 않는다’면서 촛불시위 초기시위 당시 유연하게 대응한 한진희 청장을 심하게 질책한 사실이 있었다고 한다.
그것이 한 청장이 문책을 당하는 요인이 아니겠느냐는 것.
그렇다면 결국 촛불시위에 대한 강경 진압 책임자를 문책하라는 시민·사회단체의 요구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문책이 이뤄진 셈이다.
필자가 판단하기에는 촛불시위 초기에 유연하게 대응했던 한 청장에게는 상을 주여야 할 판이다.
오히려 ‘강경진압’을 주문한 어청수 청장이 경질되는 게 맞다.
그로 인해 촛불시위가 격화되었고, 국민의 분노가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한진희 청장의 경질이 경찰의 강경 대응에 대한 외부의 비판 여론을 어 청장이 아닌 한 청장에게 돌리는 일종의 ‘대리 경질’이라면 이는 결코 묵과할 수 없다.
오죽하면 민주당이 이날 논평을 내고 “경제 파탄의 주인공인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대신 차관을 대리 경질하더니, 이번에는 어청수 청장을 보호하기 위해 돌려막기 식 땜질 인사를 단행했다”고 비판했겠는가.
만일 그것이 아니라 이명박 대통령 측의 신임을 받는 사람을 핵심 보직에 앉히는 술책이라면 더욱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실제 새 서울경찰청장으로 내정된 경북 경주 출신의 김석기 경찰청 차장은 현 정부 실세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대구 대륜고 후배로, 새 정부 출범 초기부터 차기 경찰청장 1순위 후보로 꼽혀왔던 사람이다.
그래서 아무 죄 없는 한 청장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김 내정자를 앉히려는 음모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견해가 많다.
이들 세 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든, 아니면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되든 이것은 정도가 아니다.
분명히 말하거니와 촛불시위는 유연한 대응이 문제가 아니라, 강경대응이 문제다.
한 청장의 방식이 옳았고, 어청장의 방식이 틀렸다는 말이다.
따라서 굳이 책임소재를 따지자면 문책을 당해야 사람은 한 청장이 아니라, 어 청장이다.
설사 한 청장을 경질했다고 해서, 어 청장이 시민.사회단체의 빗발치는 문책 요구를 피해 갈수는 없다.
오히려 ‘대리경질’의혹으로 인해 시민.사회단체의 분노가 더욱 커질지도 모른다.
유연하게 대응한 한 청장이 문책을 받았다면, 강경진압으로 촛불시위를 확대한 어 청장은 그보다 더 심한 문책을 당하는 게 맞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과 손발이 잘 맞는 사람을 그 자리에 앉히기 위해 죄 없는 한 사람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이라면, 이는 결코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 국민이 이명박 정부에게 기대하는 것은 별로 없다.
경제발전은 이미 물 건너 간 것 같고, 물가도 좀처럼 잡힐 것 같지 않다.
어쩌면 국민은 그런 것은 아예 기대조차 하지 않고 있는지 모른다.
다만 ‘꼼수’가 아니라, 조금이라도 신뢰 있는 모습만 보여 달라는 것이다.
이번 한진희 경질 역시 필자는 ‘꼼수 경질’에 불과하다는 판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