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옥션 경매동향
이번 분석기간(7월10일 ~ 7월23일) 동안 서울지역에서 경매 진행된 아파트는 총 129건으로 이중 66건이 낙찰돼 낙찰률 51.2%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88.3%로 1개월 전 89.1%보다 -0.8%p 하락했으며, 평균 응찰자수는 4.7명으로 1개월 전 6.8명보다 -2.1명 줄었다.
서울 5대권역(강남, 강동, 강북, 강서, 도심권) 중에서는 강동, 강북, 도심권의 낙찰가율이 상승했으며 강남, 강서권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강동권(강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동구, 중랑구)의 낙찰가율은 93.8%로 1개월 전 84.6%보다 9.2%p 상승했으며 강북권(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성북구, 은평구)은 109.1%로 1개월 전 90.1%보다 19.0%p 상승했다. 도심권(마포구, 서대문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의 낙찰가율은 93.2%로 1개월 전 91.2%보다 2.0%p 늘었다.
반면 강남권(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낙찰가율은 81.0%로 1개월 전 82.9%보다 -1.9%p 줄었으며 강서권(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양천구, 영등포구)은 90.4%로 1개월 전 90.6%보다 -0.2%p 하락했다.
이처럼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지역별 불균형은 여전했다. 특히 강남권과 강북권의 낙찰가율은 30%P 가까운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강북권 중소형 아파트와 강남권의 대형 고가아파트는 낙찰가율 및 평균 응찰자 수에서도 극심한 대조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종부세 등 부동산세 완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강남권 고가아파트의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분석기간(7월10일 ~ 7월23일) 동안 서울지역에서 경매 진행된 아파트는 총 129건으로 이중 66건이 낙찰돼 낙찰률 51.2%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88.3%로 1개월 전 89.1%보다 -0.8%p 하락했으며, 평균 응찰자수는 4.7명으로 1개월 전 6.8명보다 -2.1명 줄었다.
서울 5대권역(강남, 강동, 강북, 강서, 도심권) 중에서는 강동, 강북, 도심권의 낙찰가율이 상승했으며 강남, 강서권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강동권(강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성동구, 중랑구)의 낙찰가율은 93.8%로 1개월 전 84.6%보다 9.2%p 상승했으며 강북권(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성북구, 은평구)은 109.1%로 1개월 전 90.1%보다 19.0%p 상승했다. 도심권(마포구, 서대문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의 낙찰가율은 93.2%로 1개월 전 91.2%보다 2.0%p 늘었다.
반면 강남권(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낙찰가율은 81.0%로 1개월 전 82.9%보다 -1.9%p 줄었으며 강서권(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양천구, 영등포구)은 90.4%로 1개월 전 90.6%보다 -0.2%p 하락했다.
이처럼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지역별 불균형은 여전했다. 특히 강남권과 강북권의 낙찰가율은 30%P 가까운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강북권 중소형 아파트와 강남권의 대형 고가아파트는 낙찰가율 및 평균 응찰자 수에서도 극심한 대조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종부세 등 부동산세 완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강남권 고가아파트의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