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중구 2만1200원 최고… 강남권 2만400원
올해 2분기 서울지역의 오피스빌딩 임대료는 ㎡당 1만8600원 수준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800원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해양부가 지난 6월30일을 기준으로 서울과 6대 광역시의 업무용 빌딩 500동의 2분기 임대료(월세 기준) 및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지역의 경우 임대료는 ㎡당 1만8600원 수준이었으며, 공실률은 3.1%로 지난해 말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내에서는 종로구·중구 등 도심지역의 임대료가 ㎡당 2만1200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강남 지역이 2만400원, 여의도·마포가 1만4500원 등이었다. 또 공실률은 도심과 강남이 2.1%로 가장 낮았다.
서울지역의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임대수요 증가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으며, 임대료는 공실률 하락으로 인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6대 광역시 가운데 공실률은 대구가 지난해 하반기보다 1.7%포인트 감소한 5.2%로 가장 낮았으며, 임대료는 인천이 ㎡당 8100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경기둔화의 영향이 상쇄돼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임대료는 물가상승, 빌딩 관리비용 증가, 공실 감소 등으로 소폭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2분기 서울지역의 오피스빌딩 임대료는 ㎡당 1만8600원 수준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800원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해양부가 지난 6월30일을 기준으로 서울과 6대 광역시의 업무용 빌딩 500동의 2분기 임대료(월세 기준) 및 공실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지역의 경우 임대료는 ㎡당 1만8600원 수준이었으며, 공실률은 3.1%로 지난해 말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서울 내에서는 종로구·중구 등 도심지역의 임대료가 ㎡당 2만1200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강남 지역이 2만400원, 여의도·마포가 1만4500원 등이었다. 또 공실률은 도심과 강남이 2.1%로 가장 낮았다.
서울지역의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임대수요 증가로 꾸준히 하락하고 있으며, 임대료는 공실률 하락으로 인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6대 광역시 가운데 공실률은 대구가 지난해 하반기보다 1.7%포인트 감소한 5.2%로 가장 낮았으며, 임대료는 인천이 ㎡당 8100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의 경우 공실률은 임대공급 부족과 경기둔화의 영향이 상쇄돼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임대료는 물가상승, 빌딩 관리비용 증가, 공실 감소 등으로 소폭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