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색의 이유 있는 외도

    기고 / 차재호 / 2009-06-25 17:17:30
    • 카카오톡 보내기
    인천 서부소방서 안전관리팀장 소방경 추현만

    최근 소방차량이나 지상에 설치된 옥외소화전 색상과 디자인에 대하여 변화를 시도하려는 계획을 자주 접하고 있다.

    작년에는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에서 도시미관을 고려해 옥외소화전 색상을 지금의 빨간색에서 눈에 덜 띄는 색으로 바꾸기 위하여 시민과 소방관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었고, 올해에는 소방방재청에서 소방차 가운데 긴급을 필요로 하는 일반차량을 제외한 특수차량의 차색을 올 하반기부터 황색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한다.

    소방은 곧 빨강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매우 긍정적이며 신선한 발상이기도 하며 도시공간과의 조화와 친밀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시?공간적 효과 제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오랫동안 소방차 등에서 빨간 색상을 사용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데 소방차량 색상이 빨간색인 것은 모든 색 중에서 가장 눈에 잘 띄고 다른 색들을 압도하기 때문이다.

    빨간색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으로는 가장 긴 파장(780nm)을 갖고 있다.

    실험을 통해서 확인된 바로는 파란색과 비교해 보면 약 7m정도 가깝게 느껴진다고 한다.

    따라서 신호등의 정지신호, 소방차량?소화전, 위험을 알리는 표지판 등이 빨간색인 데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 것이다.

    또한 빨간색은 행동을 좀 더 빠르게 하며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소화전이나 소화기 등에 주로 이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과거 획일적이고 단조로웠던 도시구조가 이제는 도시미관과 함께 디자인을 하는 시대가 도래되었음을 생각해 볼 때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던 소방차량 색상이나 옥외소화전 등의 변화 추구는 매우 당연한 시대적 흐름임을 막을 수는 없을 것 같다.

    또한 이번 색상 변경 추진의 또 다른 이유로 야간이나 기상악화 때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흥분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판단도 한 몫을 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일선 현장에서 활동한 경험으로 보았을 때 올바른 지적임에는 틀림이 없다.

    다만 과학적 근거에 의한 빨강색의 상징성과 의미가 무조건 배제가 된다거나 안전보다는 미관을 중요시 하는 등 빨간색의 고유한 기능과 위치를 잃지 않도록 황색 등 다른 색들과 조화롭게 배치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차재호 차재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