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민주노총이 주최한 집회 참석자들이 갑자기 폭력시위대로 돌변하면서 주변도로의 보도블록을 깨서 대치 중이던 경찰을 향해 마구 던지는가 하면, 수백개의 죽봉을 땅에 내려쳐 끝을 뾰족하게 만든 죽창과 쇠파이프로 폭력시위를 벌였다.
갑자기 나타난 무시무시한 죽창시위대의 모습에 거리에 있던 청소년들은 휴대폰을 꺼내 다급한 목소리로 “엄마”를 외치며 공포에 떨어야 했고 도심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브랜드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는 비록 기능이나 형태가 같을지라도 이미지가 좋은 제품에 기꺼이 높은 가격을 지불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며 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한다.
지난해 미국에서 발표된 국가브랜드 순위에서 한국은 50개국 중 33위로 세계 14위의 경제 규모에 비해 한참 뒤떨어져 있다.
낮은 국가 이미지는 외국인들의 국내 투자와 유치 등을 막고 한국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실제로 연초에 KOTRA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비슷한 품질이라도 한국 제품이 선진국의 70% 수준에 팔리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국 제품이 제값을 받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투자와 유치를 통해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 제고가 필수적이다.
최근 국가브랜드위원회가 국가브랜드 33위를 2013년까지 15위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세우고 그동안 저조했던 공적개발원조를 2015년 국민총소득 대비 0.25%까지 확대 하는 등 다양한 국가 이미지 개선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우리나라의 품격과 이미지를 훼손하는 요인을 먼저 제거하는 것이다.
수많은 시위대가 죽창을 휘두르며 도심을 마비시키는 폭력시위, 볼트와 너트 등의 사제 총을 난사하며 극한 대치를 벌이는 노조 등은 대한민국의 품격과 이미지를 급격히 추락시키는 행위들이다.
이러한 후진성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우리 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한국 제품이 세계시장에서 높게 평가받기 어려울 뿐 아니라 국가브랜드 15위 목표 달성도 요원하다.
국가의 품격과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법과 절차적 정당성을 무시하고 의견 충돌시마다 폭력으로 입장을 표출하는 후진성은 반드시 개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법을 어기고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철저히 처벌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는 타협과 양보의 문화를 실천하고 정착시켜 생활속의 선진화를 조속이 이뤄나가야만 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