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영종소방서 공항119안전센터 한종수
무더운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봄이 있었던가 싶게 겨울에서 바로 여름이 훅 다가온 느낌이다. 여름하면 필수 가전제품인 에어컨이 있다.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가전제품이지만 작은 방심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컨이란 실내기와 실외기를 배관으로 연결하고 기기들을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장치다. 에어컨은 다른 가전제품에 비해서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제품이므로 사용 시에는 항상 안전 부분을 조심해야 한다.
과도한 전력 사용이나 잘못된 전기배선 규격에 맞지 않는 전선사용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용이라 할지라도 굵은 규격의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 제품을 생산하는 삼성, 엘지 등의 제조업체들은 안전한 방법으로 시공을 의무화 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큰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정도면 괜찮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허술하게 시공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의 설치기사님들은 안전하게 시공을 하고있지만 이 간단한 시공 방법의 차이로 화재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에어컨 실외기 화재 원인 중 대다수가 전원선 연결 이음부 합선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뒤이어 열에 의한 화재, 내부 전원 합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기 설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위치다. 벽의 구멍을 통해서 선을 내보내 설치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배선이 꺾여 배선 손상이 일어난다. 가장 신경써야 할 것이 과열 및 배선 손상, 과부하 등을 불러오는 원인인 설치 환경이고, 그 다음이 실외기의 노후화다. 팬이 노후 및 고장 등으로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전원 공급을 해주어도 돌아가지 않는 경우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해 불이 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부주의 또한 중요한 사안이다. 담배꽁초, 가연물 등 생활 쓰레기류가 주변에 많이 쌓여있으면 열이 축적되어서 쓰레기류에 착화되거나, 건물 외부 벽면에 설치된 기기에 담배꽁초가 떨어져 불이 날 수가 있으니 조심하여야 한다.
불타는 여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한 에어컨 화재예방법에 대해 몇가지 기억하면 좋을 듯하다.
먼저 첫 번째, 실외기 연결 전선이 낡았거나 전선 피복이 벗겨져 있지는 않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두 번째, 실외기를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업체에게 맡겨야 한다.
세 번째, 먼지들로 꽉막힌 실외기는 발열로 인해 화재원인이 되므로 실외기 청소를 꼭 하여야 한다.
네 번째, 실외기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벽과 10cm 이상 간격을 두어야 한다.
다섯 번째, 에어컨과 실외기 연결선은 반드시 단일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여섯 번째, 에어컨은 멀티탭이 아닌 단독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일곱 번째, 반드시 실외기 주위에 발화위험이 있는 물품을 적치하지 않아야 한다.
무더운 여름 안전하고 시원하게 보내기 위해서 에어컨 화재예방 방법을 숙지하고 사용한다면 화재없는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조금 귀찮을 수 있지만 꼭 주의사항을 지켜서 안전하고 시원한 여름을 보내기를 바란다.
![]() |
무더운 여름이 다가오고 있다. 봄이 있었던가 싶게 겨울에서 바로 여름이 훅 다가온 느낌이다. 여름하면 필수 가전제품인 에어컨이 있다.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가전제품이지만 작은 방심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컨이란 실내기와 실외기를 배관으로 연결하고 기기들을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장치다. 에어컨은 다른 가전제품에 비해서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제품이므로 사용 시에는 항상 안전 부분을 조심해야 한다.
과도한 전력 사용이나 잘못된 전기배선 규격에 맞지 않는 전선사용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용이라 할지라도 굵은 규격의 전선을 사용해야 한다. 제품을 생산하는 삼성, 엘지 등의 제조업체들은 안전한 방법으로 시공을 의무화 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큰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정도면 괜찮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허술하게 시공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의 설치기사님들은 안전하게 시공을 하고있지만 이 간단한 시공 방법의 차이로 화재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한국 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에어컨 실외기 화재 원인 중 대다수가 전원선 연결 이음부 합선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뒤이어 열에 의한 화재, 내부 전원 합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기 설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위치다. 벽의 구멍을 통해서 선을 내보내 설치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배선이 꺾여 배선 손상이 일어난다. 가장 신경써야 할 것이 과열 및 배선 손상, 과부하 등을 불러오는 원인인 설치 환경이고, 그 다음이 실외기의 노후화다. 팬이 노후 및 고장 등으로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전원 공급을 해주어도 돌아가지 않는 경우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해 불이 날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부주의 또한 중요한 사안이다. 담배꽁초, 가연물 등 생활 쓰레기류가 주변에 많이 쌓여있으면 열이 축적되어서 쓰레기류에 착화되거나, 건물 외부 벽면에 설치된 기기에 담배꽁초가 떨어져 불이 날 수가 있으니 조심하여야 한다.
불타는 여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한 에어컨 화재예방법에 대해 몇가지 기억하면 좋을 듯하다.
먼저 첫 번째, 실외기 연결 전선이 낡았거나 전선 피복이 벗겨져 있지는 않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두 번째, 실외기를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업체에게 맡겨야 한다.
세 번째, 먼지들로 꽉막힌 실외기는 발열로 인해 화재원인이 되므로 실외기 청소를 꼭 하여야 한다.
네 번째, 실외기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벽과 10cm 이상 간격을 두어야 한다.
다섯 번째, 에어컨과 실외기 연결선은 반드시 단일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여섯 번째, 에어컨은 멀티탭이 아닌 단독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일곱 번째, 반드시 실외기 주위에 발화위험이 있는 물품을 적치하지 않아야 한다.
무더운 여름 안전하고 시원하게 보내기 위해서 에어컨 화재예방 방법을 숙지하고 사용한다면 화재없는 여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조금 귀찮을 수 있지만 꼭 주의사항을 지켜서 안전하고 시원한 여름을 보내기를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