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공급면적 66㎡미만 소형 외의 다른 면적 아파트들은 금융위기 이전 시세를 아직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글로벌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9월과 현재 수도권 아파트의 면적별 매매가 변동률을 비교한 결과 66㎡미만 소형만 0.29% 상승했으며 나머지 공급면적은 모두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면적별로 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던 곳은 165~198㎡미만으로 금융위기 이전과 비교해 현재 시세가 8.90% 떨어졌다. 이어 ▲132~165㎡미만 -7.95% ▲198㎡이상 -5.91% ▲99~132㎡미만 -4.48% ▲66~99㎡미만 -0.66% 순으로 중대형의 시세회복이 더뎠다.
소형의 경우 저렴한 가격 탓에 금융위기의 충격이 덜했고 1~2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나 회복세가 빨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형은 경기 위축으로 인기가 떨어지고 이에 따른 가격하락 기대감으로 수요자들이 매수를 보류해 하락폭이 컸다.
시도별로는 인천의 66㎡미만 아파트가 2.25% 올라 글로벌금융위기 직전 시세를 가장 많이 넘어섰으며 ▲신도시 66㎡미만 1.94% ▲서울 66㎡미만 0.74% ▲서울 66~99㎡미만 0.60% 순이었다.
반면 신도시의 198㎡ 이상 대형아파트는 금융위기 직전 시세와 비교해 15.82%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신도시 165~198㎡미만 -15.00% ▲경기 198㎡이상 -14.87% ▲신도시 132~165㎡미만 -14.54%의 순이었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부동산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돼 있지만 유지 및 투자비가 적게 드는 소형아파트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라며 “반면 중대형은 당분간 시세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