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먹고 덜입고… 소비자들 지갑 닫았다

    가계 / 관리자 / 2011-10-17 17:10:00
    • 카카오톡 보내기
    3분기 이마트지수 99로 6개월만에 기준치 이하… 물가 오르고 실질소득 준 탓

    소비자 경기 호·불황 여부를 나타내는 ‘이마트 지수’가 2분기 만에 다시 100선 아래로 떨어지며 소비심리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 지수는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가 전국 50개 이마트 표준 점포의 476개 상품군의 분기별 소비량 변화 패턴을 분석, 전년 동기대비 증감 여부를 따져 경기 호불황을 보여주는 ‘실질 소비량 측정 지수’를 뜻한다.


    17일 신세계 이마트는 지난 3분기(7~9월) 이마트 지수가 99.0을 기록, 2분기만에 다시 100 아래로 떨어져 소비심리가 침체됐다고 분석했다.


    앞서 지난 1분기(1~3월) 이마트 지수는 98.7을 기록, 2010년 전(全)분기를 포함해 5분기 만에 100선 아래로 떨어진 바 있다. 2분기(4~6월) 이마트 지수는 100.3을 기록했다.


    이마트 지수는 100 이상이면 전년 동기대비 소비가 호전됐음을, 100이하면 악화됐음을 나타낸다.


    세부 항목별로는 의(依)생활 지수 98.4, 식(食)생활 지수 99.0, 주(住)생활 지수 99.7, 문화(文化)생활 지수 98.6로 전지수가 100미만을 나타냈다.


    지난 8월 올해 최고치인 5.3%를 기록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사상 최대의 전세대란 등 가계 부담으로 인한 소비자 체감경기 하락이 실질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유통산업연구소는 분석했다.


    김민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 부장은 “2011년 3분기에는 신선식품 공급량 부족에 따른 물가 인상과 전세가 비중이 크게 오르는 등 소비자 가처분 소득 감소 요인이 증가해 전반적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4개월 연속 동결하는 등 경기 불안에 대한 대응이 이어지고 있지만, 올해 1분기에 이어 다시 이마트 지수가 100 아래로 떨어져 소비자 체감 경기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신선식품 공급 감소에 따른 대체 소비 지속

    이상 기온으로 인한 농산물과 수산물 공급 감소, 구제역으로 인한 국내산 돈육 공급 감소, AI 여파로 인한 계란 공급 감소 등 농수축산물 전반에 걸친 공급 감소가 물가 인상으로 이어졌다. 이를 대체하는 소비 증가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국산 과일은 수박 73.2, 포도 95.5로 소비가 줄었다. 그러나 수입 오렌지 421.8, 수입 망고 367.2, 수입 메론 303.2로 수입과일은 소비가 크게 증가했다.


    수산물도 수온 변화로 인해 공급이 감소한 생물 수산물 소비가 줄어든 대신 냉동 고등어 176.6, 냉동 오징어 111.6, 동태 100.5를 기록해 냉동 수산물은 소비 증가를 보였다.


    축산물 역시 국산 돈육은 75.5로 소비가 줄었으나, 이를 대체한 수입 돈육은 608.8, 우육은 113.6로 소비가 늘었으며, 생산량이 줄어든 계란도 92.5로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폭우를 동반한 여름, 시즌 상품 변화

    올해 여름은 비가 특히 많이 내려 여름 시즌 가전인 냉방 제품의 소비와 아이스크림과 음료 등 여름을 대표하는 상품들의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야외 활동 하기에 좋은 날씨가 짧았던 만큼 장기간 사용하는 바캉스 용품의 소비는 줄어든 대신 간편하게 사용하는 바캉스 용품 소비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컨 58.1, 선풍기 86.3, 냉장고 76.3로 소비 감소를 보인 반면, 제습제는 108.7로 소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으며, 아이스크림과 이온음료도 각각 78.3과 90.7로 소비 감소를 보였다.



    ◇이른 추석과 가격 상승으로 선물세트 소비 변화

    이른 추석으로 인해 생육이 늦어진 과일세트는 수요가 감소했지만 충분한 공급으로 가격이 낮아진 한우세트는 큰 증가를 보였다. 전년보다 가격이 높아진 통조림세트도 수요가 줄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커피세트, 조미료세트, 생활용품세트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세트 96.3, 사과·배 혼합세트 85.4로 수요 감소를 보였지만, 한우 갈비세트 143.3, 한우 냉장 세트 130.0으로 큰 수요 증가를 보였다.


    통조림세트가 97.1로 수요감소를 보인 반면, 커피세트 122.0, 조미료세트 116.1, 생활용품세트 103.9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