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시 고유정 수사를 담당했던 경찰관들은 "'전 남편이 성폭행하려 했다’'는 고유정의 거짓말에 속아서 시간을 허비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경찰청과 제주지방경찰청은 '경찰청 관련 기능 합동 현장점검단' 조사 결과, 고유정 사건과 관련한 초동조치와 수사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일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박기남 전 제주동부경찰서장(현 제주경찰청 정보화장비담당관)과 이번 수사와 관련된 간부급 경찰공무원 등 3명에 대한 감찰조사를 의뢰했다.
경찰청은 지난 7월 '경찰청 관련기능 합동 현장점검단'을 편성하고 제주 전 남편 살해사건 현장을 확인하고 관련 서류 검토와 수사관계자 대상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진상조사팀은 이연욱 경찰청 킥스(KICS) 운영계장(경정)을 팀장으로 총 5명으로 구성됐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 점검 결과, 실종 신고 접수 후 초동조치 과정에서 범행 장소인 펜션 현장 확인 및 주변 수색이 지연된 사실이 확인됐다"며 "압수수색 시 졸피뎀 관련 자료를 발견하지 못한 사실 등을 확인해 내린 결론"이라고 부실 수사를 사실상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실종 수사는 수색을 중심으로 이뤄지지만, 범죄 개연성을 염두에 두고서 CCTV를 확인하는 순서를 정해야 한다"며 "우선순위 판단에 있어서 아쉬운 점이 있어서 감찰 조사를 의뢰했다"고 말했다.
당시 중요한 단서였던 현장 CCTV는 경찰들이 놓치고 있던 것을 전 남편의 유족들이 직접 찾아 전달해 부실 수사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당시 수사팀이 '전 남편이 자신을 성폭행하려 했다'는 고유정의 거짓 진술에 속아 시간을 허비했다고 판단했다.
경찰 관계자는 "최종목격자(고유정)가 하는 거짓말에 휘둘렸다"며 "사실 판단을 신중하게 해야 했고 더 일찍 거짓말이란 걸 알아채야 했다"고 아쉬움을 지적했다.
아울러 경찰청은 피의자 검거장면 영상 유출과 관련해선 적정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외부에 공개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했다.
경찰청은 향후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중요사건 초기 위기관리를 위한 '종합대응팀' 운영계획을 내놨다. 또 '실종수사 매뉴얼' 개선 등 관련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