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이 증가하면서, 소비자 구매 패턴에도 변화가 생겼다. 행사상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할인 쿠폰 사용도 늘었다. 또 자체브랜드(PB) 중에서도 알뜰 상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8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1분기(1~3월)를 기준으로 가전과 패션을 제외한 신선, 가공, 생활·문화 상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행사상품의 매출이 전체 매출의 26.0%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 포인트 더 증가한 수치다.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10.8% 가량 증가했다.
특히 3월 한 달만 보면 전체 매출에서 행사상품이 차지하는 구성비는 26.2%로 작년 3월보다 3% 포인트 더 증가했다.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20.3% 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또 상품군별로 살펴보면 이상 기온 등으로 물가 상승폭이 컸던 과일, 생선, 유제품 상품군에서 행사상품의 매출이 더 크게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과일’에서 행사 상품 매출이 35.3%, ‘수산물’이 100%, ‘우유 등 유제품’이 46.8% 증가해 같은 기간 10% 미만의 신장률을 보인 가공식품이나 생활용품보다 더 큰 인기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할인 쿠폰을 이용해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들도 늘었다. 우편으로 발송하는 할인 쿠폰인 DM쿠폰 행사상품의 매출도 3월 기준 작년보다 16.7% 증가했다.
PB 상품에서도 프리미엄보다 알뜰 실속형 상품 매출이 증가했다.
롯데마트는 올 1~3월 전체 PB매출에서 각 브랜드별 매출 구성비를 살펴본 결과, 가격 경쟁력을 극대화한 알뜰 구매 콘셉트인 ‘세이브 엘’ 브랜드의 매출 구성비가 증가했다.
특히 작년 1분기 5.7%를 차지했던 ‘세이브 엘’브랜드의 매출 구성비가 올해는 두 배 가까이 증가한 10.4%를 차지해 알뜰형 소비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