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리스기업·연구소등 공생발전 생태계 구축
[시민일보]경기도 판교가 '한국형 실리콘밸리'로 집중 육성된다.
지식경제부는 11일 오후 ‘판교반도체클러스터(Pangyo Semicon Cluster) 비전 선포식’을 갖고 향후 경기도 기흥과 이천을 연결하는 삼각지역을 국내 반도체 산업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현재 판교에는 60여개의 팹리스기업, 50여개의 장비기업을 비롯,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기흥,화성), SK하이닉스(이천) 등 반도체 관련 핵심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또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수원), 단국대(죽전), 경희대(기흥), 성균관대(수원) 등 국내 유명 공과대학과 전자부품연구원 SoC연구센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W-SoC 융합센터 등 반도체 지원 기관이 소재해 유기적 관계 모색이 가능하다.
지경부는 판교 클러스터는 지난 2010년 발표된 ‘시스템반도체 및 장비산업 육성 전략’의 후속 조치로 추진됐다며 미국의 실리콘밸리, 대만의 신주 사이언스 파크 등 반도체 선진국들의 산업 클러스터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해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석우 장관은 “이번에 조성되는 클러스터는 우리 반도체 산업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선순환적 공생발전 생태계 미흡’이란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대안이 될 것”이라며“산학연 협업을 통해 우리 반도체 산업의 위상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킬 것”이라고 기대했다.
향후 정부는 더 많은 팹리스 기업, 장비기업, 연구소 등이 판교 클러스터내에 입주토록 유도함으로써 연구 및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수도권 내 파운드리(부천·청주), 수요기업(파주·탕정), 소프트웨어 단지(송파·테헤란밸리) 등과의 연계를 강화해 명실상부한 우리 IT산업 발전의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