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대만이 일본과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할 가능성을 내비쳤지만 중국 정부와 연합해 일본에 대항할 생각은 없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22일 둥난망(東南網)에 따르면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은 20일 일본 NHK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만은 일본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이 문제(영유권 분쟁)에서 일본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과 손잡을 의사가 전혀 없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대만과 일본 관계는 지난 40여년 간 최고의 상태며 양측은 (이번 사태로)관계가 악화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NHK는 댜오위다오에 관련된 5개의 질문을 포함해 총 12개 문제를 질문했고 이번 인터뷰 내용은 요약돼 21일 NHK의 오전 4시30분부터 7시까지 시간대의 뉴스 프로그램에서 약 2분 동안씩 방송됐다.
홍콩 댜오위다오보호행동위원회(保釣行動委員會)의 10월 재상륙 계획에 대해서는 "댜오위다오 문제는 어느 한 국가가 자제해서 풀리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국가가 이성적으로 상황을 봐야 한다"며 "서로 공감할 수 있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댜오위다오 분쟁은 협상, 조정, 중재 사법 제소 등 여러 가지 해결법이 있지만 국제법 준수와 평화 해결이 그 원칙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마 총통은 "댜오위다오는 대만 부속 도서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며 영유권에 대한 대만 당국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고 못박았다.
또 이번 영유권 분쟁을 ICJ에 회부해 처리하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자극적이지 않은 어투로 가볍게 제안했다.
마 총통은 일본이 독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하자고 한국 정부에 제안한 사례를 거론하면서 이 문제도 ICJ에서 해결될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발언은 댜오위다오 문제에서 대만은 중국과 줄곧 입장 차가 존재해 당연한 결과로 보여지지만 최근 양안삼지(兩案三地) 범중화권 댜오위다오 영유권 탈환 작전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비치고 있는 가운데 예상 밖인 사건으로 분석됐다.
또 이로써 중화권이 일본에 대항해 댜오위다오 영유권 주장하는 행동의 사기가 떨어지고 마잉주 정권 후 발전한 대만과 중국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