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등 수출주도형 6대 업종의 경쟁력 강화와 신수종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2011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 IT전기전자·석유화학·자동차·철강·조선·건설 등 수출주도형 6대 주력 업종이 전체의 9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6개 업종의 해외 매출 비중은 지난 2011년 51.7%에서 지난해 3분기 56.2%로 4.5%p 높아졌다.
이 중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IT전기전자로, 2011년 82.2%에서 83.7%로 1.5%p 상승했으며, 자동차 및 부품은 같은 기간 해외 매출 비중이 1.6%p상승한 60.2%를 기록했다.
건설(38.6%), 조선·기계·설비(26.8%), 철강(22.4%) 등은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2011년 대비 5~7%p 높아졌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37.3%로 0.5%p상승했다.
반면 금융·통신·운송·유통 등 업종은 매출 비중이 현저히 낮거나 제자리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133개 기업 중 수출주도형 6개 업종을 제외할 경우 해외 매출 비중이 0.6%p 낮아진 12.0%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지난해 3분기 기준 삼성의 해외 매출 비중이 71.9%로 가장 높았으며, LG가 68.7%, 금호아시아나 65.2%, 에쓰-오일 61.2% 순이었다.
두산(58.4%), 현대차(56.6%), 포스코(55.5%)도 해외 비중이 절반을 넘었으며, SK는 48.9%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 회사들이 1~4위를 휩쓸었다. SK하이닉스가 해외 비중 92.5%로 1위를 차지했고, 셋톱박스 업체인 휴맥스 90.9%, LG디스플레이 89.5%, 삼성전자 89.3% 순이었다.
이어 대우인터내셔널(88.9%), 카프로(82.6%), S&T모티브(79.3%), 성우하이텍(77.4%), 삼성엔지니어링(76.3%), LG전자(74.3%) 등이 해외 비중 ‘톱10’에 올랐다.
3년 새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자동차부품 업체인 성우하이텍으로, 5.9%에서 77.4%로 71.5%p나 급증했다. 이밖에 풍산 46.8%포인트, S&T모티브 36.1%p, 인탑스 19.6%p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한화(18.2%p), 대림산업(18.1%p), 한국전력기술(15%p), 포스코ICT(14.9%p), KCC건설(14.6%p), 현대건설(13.3%p) 등도 두 자릿수 이상 비중이 높아졌다.
반대로 대한항공(0.1%), 한국남부·남동발전·KT·신도리코(0.2%) 삼성생명보험(0.3%), 대성산업(0.8%), 롯데푸드(1%) 등은 1% 이하로 해외 비중이 매우 낮았다.
또 호텔신라(1.1%), LIG손해보험(1.2%), 현대증권(1.3%), 우리투자증권(1.5%), 녹십자(1.5%), 미래에셋증권·남양유업(1.8%) 등 금융과 생활·유통·제약 업종 기업들이 대체로 미미한 해외 매출 비중을 보였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수출주도형 한국 경제에서 IT전기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등 6개 업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이들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수종 사업 발굴을 위해서라도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2011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 IT전기전자·석유화학·자동차·철강·조선·건설 등 수출주도형 6대 주력 업종이 전체의 9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들 6개 업종의 해외 매출 비중은 지난 2011년 51.7%에서 지난해 3분기 56.2%로 4.5%p 높아졌다.
이 중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IT전기전자로, 2011년 82.2%에서 83.7%로 1.5%p 상승했으며, 자동차 및 부품은 같은 기간 해외 매출 비중이 1.6%p상승한 60.2%를 기록했다.
건설(38.6%), 조선·기계·설비(26.8%), 철강(22.4%) 등은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2011년 대비 5~7%p 높아졌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37.3%로 0.5%p상승했다.
반면 금융·통신·운송·유통 등 업종은 매출 비중이 현저히 낮거나 제자리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133개 기업 중 수출주도형 6개 업종을 제외할 경우 해외 매출 비중이 0.6%p 낮아진 12.0%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지난해 3분기 기준 삼성의 해외 매출 비중이 71.9%로 가장 높았으며, LG가 68.7%, 금호아시아나 65.2%, 에쓰-오일 61.2% 순이었다.
두산(58.4%), 현대차(56.6%), 포스코(55.5%)도 해외 비중이 절반을 넘었으며, SK는 48.9%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 회사들이 1~4위를 휩쓸었다. SK하이닉스가 해외 비중 92.5%로 1위를 차지했고, 셋톱박스 업체인 휴맥스 90.9%, LG디스플레이 89.5%, 삼성전자 89.3% 순이었다.
이어 대우인터내셔널(88.9%), 카프로(82.6%), S&T모티브(79.3%), 성우하이텍(77.4%), 삼성엔지니어링(76.3%), LG전자(74.3%) 등이 해외 비중 ‘톱10’에 올랐다.
3년 새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자동차부품 업체인 성우하이텍으로, 5.9%에서 77.4%로 71.5%p나 급증했다. 이밖에 풍산 46.8%포인트, S&T모티브 36.1%p, 인탑스 19.6%p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한화(18.2%p), 대림산업(18.1%p), 한국전력기술(15%p), 포스코ICT(14.9%p), KCC건설(14.6%p), 현대건설(13.3%p) 등도 두 자릿수 이상 비중이 높아졌다.
반대로 대한항공(0.1%), 한국남부·남동발전·KT·신도리코(0.2%) 삼성생명보험(0.3%), 대성산업(0.8%), 롯데푸드(1%) 등은 1% 이하로 해외 비중이 매우 낮았다.
또 호텔신라(1.1%), LIG손해보험(1.2%), 현대증권(1.3%), 우리투자증권(1.5%), 녹십자(1.5%), 미래에셋증권·남양유업(1.8%) 등 금융과 생활·유통·제약 업종 기업들이 대체로 미미한 해외 매출 비중을 보였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수출주도형 한국 경제에서 IT전기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등 6개 업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이들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수종 사업 발굴을 위해서라도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