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 "전액 삭감돼 난감"
[인천=문찬식 기자]이청연 인천시교육감의 핵심 공약인 '인천형 혁신학교' 건립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인천시의회가 혁신학교를 건립하기 위해 준비 예산 2억4000만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시의회는 지난 12일 교육위원회에 이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잇따라 혁신학교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이번 삭감은 시의회가 혁신학교 추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보고 받은 적이 없고 고위간부들조차 혁신학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면서다.
따라서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황인성)는 이날 인천시교육청 특별회계 제1차 추가경정예산을 심의하면서 상임위인 교육위원회에서 전액 삭감했던 혁신학교 준비예산인 2억4000만원에 대한 예산 전액을 삭감했다.
예결위 위원들은 혁신학교에 대한 시교육청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보고 받지 않은데다 이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교육청 고위간부들의 이해도가 낮았다며 상임위가 결정한 수정안을 가결했다.
예결위 소속 김진규 시의원은 "혁신학교 정책에 신뢰감이 있고 이해할 수 있다"며 "하지만 추진사업에 향후 발전계획을 보면 혁신학교 구축 등 구체적인 자료가 없고, 의원들을 설득하는 과정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특히 "앞으로 단계적으로 시행될 혁신학교 예산과 관련한 구체적인 예산안 등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만들어야 의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는데, 그런 부분이 생략된 것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임정빈 의원은 "혁신학교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없었다"면서 "교육방법 등 세심한 방법까지 의원들에게 보고를 했으면 여기까지 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시 교육청의 소통 부족을 강조했다.
조계자 시의원도 "혁신학교는 학부모들의 지대한 관심사이고, 그렇다면 교육위 위원들에게 타 시ㆍ도의 성과를 설명했어야 하지만 지금 이 자리에서도 어떤 내용인지 모른다"면서 "교육정책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고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의원들의 이해가 필요한 만큼 의원들에게 보고를 성실히 해달라"고 말했다.
구재용 시의원은 "예결위에서 '혁신학교가 어떤 것이다'라는 자료도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인천 교육이 변화하려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등 물꼬를 터야하는데 의견을 같이 하지만 시 교육청 간부들조차 혁신학교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황인성 위원장은 "혁신학교와 관련해 지금 간부들조차 숙지가 안 돼 있다"면서 "상임위에서 겪은 설득 부족과 소통부족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며 간부 공무원들의 성실한 태도를 주문했다.
그러나 혁신학교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되자 시 교육청은 난감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시 교육청 한 간부는 한 통신사와 인터뷰에서 "사실 간부들조차 혁신학교라는 개념 자체의 이해도가 많이 떨어졌다는 지적은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지만 현재 혁신학교를 전담하는 팀도 마련됐고, 얼마든지 추후에 설명해 드릴 수 있는 사항인데, 예산이 전액 삭감돼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직원도 "처음부터 시의회를 설득하기 위한 준비 작업들을 거쳐야 했지만 이런 부분이 미흡한 것 같다"며 "이청연 교육감의 대표 공약인 혁신학교가 준비단계부터 난항을 겪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인천=문찬식 기자]이청연 인천시교육감의 핵심 공약인 '인천형 혁신학교' 건립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인천시의회가 혁신학교를 건립하기 위해 준비 예산 2억4000만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시의회는 지난 12일 교육위원회에 이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잇따라 혁신학교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이번 삭감은 시의회가 혁신학교 추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보고 받은 적이 없고 고위간부들조차 혁신학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면서다.
따라서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황인성)는 이날 인천시교육청 특별회계 제1차 추가경정예산을 심의하면서 상임위인 교육위원회에서 전액 삭감했던 혁신학교 준비예산인 2억4000만원에 대한 예산 전액을 삭감했다.
예결위 위원들은 혁신학교에 대한 시교육청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보고 받지 않은데다 이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교육청 고위간부들의 이해도가 낮았다며 상임위가 결정한 수정안을 가결했다.
예결위 소속 김진규 시의원은 "혁신학교 정책에 신뢰감이 있고 이해할 수 있다"며 "하지만 추진사업에 향후 발전계획을 보면 혁신학교 구축 등 구체적인 자료가 없고, 의원들을 설득하는 과정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특히 "앞으로 단계적으로 시행될 혁신학교 예산과 관련한 구체적인 예산안 등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만들어야 의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는데, 그런 부분이 생략된 것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임정빈 의원은 "혁신학교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없었다"면서 "교육방법 등 세심한 방법까지 의원들에게 보고를 했으면 여기까지 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시 교육청의 소통 부족을 강조했다.
조계자 시의원도 "혁신학교는 학부모들의 지대한 관심사이고, 그렇다면 교육위 위원들에게 타 시ㆍ도의 성과를 설명했어야 하지만 지금 이 자리에서도 어떤 내용인지 모른다"면서 "교육정책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고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의원들의 이해가 필요한 만큼 의원들에게 보고를 성실히 해달라"고 말했다.
구재용 시의원은 "예결위에서 '혁신학교가 어떤 것이다'라는 자료도 제출하지 않았다"면서 "인천 교육이 변화하려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등 물꼬를 터야하는데 의견을 같이 하지만 시 교육청 간부들조차 혁신학교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황인성 위원장은 "혁신학교와 관련해 지금 간부들조차 숙지가 안 돼 있다"면서 "상임위에서 겪은 설득 부족과 소통부족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며 간부 공무원들의 성실한 태도를 주문했다.
그러나 혁신학교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되자 시 교육청은 난감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시 교육청 한 간부는 한 통신사와 인터뷰에서 "사실 간부들조차 혁신학교라는 개념 자체의 이해도가 많이 떨어졌다는 지적은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지만 현재 혁신학교를 전담하는 팀도 마련됐고, 얼마든지 추후에 설명해 드릴 수 있는 사항인데, 예산이 전액 삭감돼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직원도 "처음부터 시의회를 설득하기 위한 준비 작업들을 거쳐야 했지만 이런 부분이 미흡한 것 같다"며 "이청연 교육감의 대표 공약인 혁신학교가 준비단계부터 난항을 겪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