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대상 1000명 중 강남구민 300명 뿐"

    지방의회 / 이대우 기자 / 2014-09-25 18:08:24
    • 카카오톡 보내기
    강남구, 김현기 시의원 '구룡마을 개발관련' 시민 설문조사 결과 반박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서울 강남구(구청장 신연희)가 서울시의회 김현기(새누리당, 강남4)의원이 지난 19일 발표한 ‘구룡마을 개발 관련 시민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설문조사대상의 문제가있다’ 며 조사결과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서울시의회가 ‘유니온리서치’에 맡겨 실시했던 이번 설문조사는 강남구민 300명과 여타 지역의 서울시민 700명을 합쳐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구는 이번 설문조사가 “구룡마을이 옛날 가옥이 모여 있는 구마을인지, 개발이 제한된 자연녹지 및 도시자연공원인지, 무허가 판자촌 지역인지 조차 모르는 24개구 거주민들을 7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강남구민은 300명을 선정했는데, 이들 300명 중, 구룡마을 거주자가 다수 포함되었을 개연성이 있는 개포1동 주민을 100명이나 포함시켰다”고 말했다.

    또, “구룡마을 개발은 물론, 주요 쟁점사항을 잘 알지 못할뿐더러 관심조차 없는 임의의 시민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란 점에서 타당성은 더욱 떨어진다” 고 말했다.


    특히, 의회가 제시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설문대상자의 60.9%가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해제과정’을 모른다고 답했으며, 안다고 답한 대상은 39.1%였다.

    구는, 조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의만 가진 구룡마을 주민(명의신탁 토지주) 등 직접 이해 당사자를 배제한 강남구민을 대상으로 했어야 옳은것이며, 설문대상자의 무려 19.1%가 응답거절을 선택할 정도로 질문과 답항목 구성도 적절하지 못했음을 지적했다.

    구는 “구룡마을 개발처럼 거주민의 재정착과 주거안정을 위해 고도의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한 사업에 이 같은 설문조사는 무의미하며, 법에 따라 공익적인 관점에서 개발방식이 결정될 사안이지 해당지역 주민이나 토지주와 시민들의 의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각 자치구마다 복지예산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마당에 서울시의회가 1,00만원이나 들여 이 같은 설문조사를 한 의도가 의심스럽다”며 “구룡마을을 강남에 걸맞은 비전도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100% 수용·사용 방식의 공영개발을 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