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박기성 기자]경찰이 올해를 전화금융사기인 '보이스피싱 척결의 원년'으로 삼아 전담수사팀을 꾸린다.
경찰청은 전국 16개 지방청 395명으로 구성된 수사조직 '지능범죄수사대'에 보이스피싱 전담수사팀을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에 금융사기가 집중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서울청과 경기청에 각각 4개팀 40명, 21명을 투입하기로 했다.
경찰은 우선 오는 16일부터 일선 경찰서에서 수사하던 피해액수 1000만원·피해계좌 3개 이상의 보이스피싱·대출사기 사건을 지방청 지능범죄수사대로 이관한다.
규모로 보면 보이스피싱 2850여건(37.4%)과 대출사기 2800건(20%)에 이른다.
신고체계 혼선을 막기 위해 현행과 같이 일선서에서 사건을 접수받아 피해계좌의 신속한 지급정지를 비롯한 초동수사를 진행하되, 지방청은 고액 피해사건과 콜센터·총책 추적 수사에 집중하게 된다.
사건 부담이 줄어든 일선서에는 지역내 생활경제 침해범죄에 대한 인지 수사활동에 주력한다.
금융위원회·미래창조과학부 등 유관기관과 협조해 그간 통신·금융 제도개선 내역을 전면 재검토하고, 수사과정에서 도출된 제도적 문제점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도 힘쓰기로 했다.
향후에는 일선서 지능팀내 대출사기팀을 신설한다는 게 경찰청의 복안이다.
아울러 경찰은 보이스피싱의 범행수단인 대포통장을 근절하기 위해 연중 특별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대포통장 등 차명물건 범죄에 대한 수사 성과에 대해서는 특진·승급 포상도 주기로 했다.
한편, 지난 한 해 발생한 보이스피싱 건수는 7635건이다. 피해액수만도 974억원에 이르며 1년 전보다 각각 60.2%, 76.4% 증가한 수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