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약관대로 자살보험금 지급하라"

    사건/사고 / 민장홍 기자 / 2015-02-25 17:45:53
    • 카카오톡 보내기
    미지급 관련 소송 생명보험사 책임 커질듯
    [시민일보=민장홍 기자]자살보험금 미지급과 관련해 일부 생명보험사들의 소송이 진행 중인 가운데 '보험회사는 약관대로 자살보험금을 지급하라'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이 판결이 최종 확정될 경우 같은 약관을 사용한 다른 보험사들에게도 책임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파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101단독(판사 박주연)는 박 모씨 부부가 삼성생명보험을 상대로 낸 보험금 지급 소송에서 "삼성생명은 특약에 따른 재해사망보험금 1억원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며 원고 승소 판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박 판사는 '보장개시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후 자살한 경우'라는 약관 문구에 대해 "2년 경과 자살은 정신질환 자살과 동일하게 보험사고(재해)의 범위로 해석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약관 조항이 다의적으로 해석돼 의미가 명백하지 않은 경우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박씨는 2006년 아들을 피보험자(보험대상자)로 하는 종신보험에 가입하면서 피보험자가 재해로 사망할 경우 상속인(부모)들에게 보험금 1억원이 별도 지급되는 특약을 가입했다.

    이후 삼성생명은 지난해 3월 박씨의 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자, 일반사망보험금인 6300만원을 지급했지만 특약에 따른 보험금 지급은 거절했다.

    당시 박씨가 가입한 보험의 약관에는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규정됐다.

    그러나 '피보험자가 정실진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사실을 증명한 경우와 특약의 보장개시일로부터 2년이 경과된 후에 자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는 단서 조항이 달려 있다.

    한편 이번 법원 판결이 확정되면 자살보험금 미지급과 관련해 소송을 진행 중인 생보사들 역시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생보사가 고객들에게 지급하지 않은 자살사망보험금은 2179억원에 달한다.

    앞서 삼성생명·교보생명·한화생명·동부생명·신한생명·농협생명·동양생명·메트라이프생명·알리안츠생명, ING생명 등 10개 생보사들이 사망 특약에 따른 자살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고 소송 중이다.

    회사별 미지급 규모는 ING생명 471건, 653억원으로 가장 많고 삼성생명 713건 563억원, 교보생명 308건 223억원, 알리안츠 152건 150억원, 동부생명 98건 108억원, 신한생명 163건 103억원 등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