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정부가 부처 간 공동기획과 협업을 통해 국가 연구개발(R&D)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유사·중복 사업을 조정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제7회 다부처공동기획협력특별위원회를 열고 '2016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과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안)' 등을 심의·확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미래부는 2016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과 관련해 사회문제 해결, 미래 대비 기술, 중소·벤처 활성화 등 3개 분야에서 제기된 총 40건(정부부처 22건·국민 18건)의 사업기획안 중 총 13건을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으로 확정했다.
이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 분야의 경우 국민안전에 필요한 재난·재해 감지 및 대응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 재난 대응 정보 인프라 기술', '첨단센서 기반 재난예측 조기 경보 시스템' 등 총 5건을 선정했다.
중소·벤처 활성화 분야는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바이오·메디컬 3D프린팅 융복합 의료기기', '한약재 산업 국제경쟁력 강화' 등 2건을 선정했다.
미래 대비 기술 분야는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미래 무인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원천·기반 기술 확보가 필요한 '암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 '간병 지원 로봇 시스템' 등 총 6건을 선정했다.
미래부는 이번 다부처특위를 통해 확정된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 13건에 대해 사업타당성, 다부처 협력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공동기획연구를 거쳐 2016년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특위에서 다부처특위 산하에 다부처실무위원회와 다부처공동사업 기획소위원회를 신설해 다부처특위 운영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내용 등이 담긴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안)'도 심의·확정했다.
미래부는 상반기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운영지침을 개정해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에 반영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제7회 다부처공동기획협력특별위원회를 열고 '2016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과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안)' 등을 심의·확정했다고 15일 밝혔다.
미래부는 2016년도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과 관련해 사회문제 해결, 미래 대비 기술, 중소·벤처 활성화 등 3개 분야에서 제기된 총 40건(정부부처 22건·국민 18건)의 사업기획안 중 총 13건을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으로 확정했다.
이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 분야의 경우 국민안전에 필요한 재난·재해 감지 및 대응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 재난 대응 정보 인프라 기술', '첨단센서 기반 재난예측 조기 경보 시스템' 등 총 5건을 선정했다.
중소·벤처 활성화 분야는 중소·벤처기업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바이오·메디컬 3D프린팅 융복합 의료기기', '한약재 산업 국제경쟁력 강화' 등 2건을 선정했다.
미래 대비 기술 분야는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미래 무인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원천·기반 기술 확보가 필요한 '암환자 맞춤형 치료제 개발', '간병 지원 로봇 시스템' 등 총 6건을 선정했다.
미래부는 이번 다부처특위를 통해 확정된 사전기획연구 대상사업 13건에 대해 사업타당성, 다부처 협력체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공동기획연구를 거쳐 2016년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특위에서 다부처특위 산하에 다부처실무위원회와 다부처공동사업 기획소위원회를 신설해 다부처특위 운영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내용 등이 담긴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안)'도 심의·확정했다.
미래부는 상반기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운영지침을 개정해 다부처공동기획사업 제도개선에 반영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