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외교 비리수사 본격화···성완종 경남기업 회장 출국금지
[시민일보=민장홍 기자]이명박(MB) 정부 시절 특혜 논란으로 불거진 자원외교 비리에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됐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18일 자원개발 비리 의혹과 관련해 경남기업과 한국석유공사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8시께 경남기업 본사(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한국석유공사(울산), 경남기업 주요 임직원 자택 등에 수사팀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장부, 내부 서류 등을 확보했다.
또한 검찰은 제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내 친이계로 알려진 성완종 회장(64)을 포함한 핵심 경영진을 출국금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경남기업은 2006년 석유공사와 컨소시엄 형태로 러시아 캄차카반도의 티길(Tigil) 및 이차(Icha) 등 2개 육상광구 탐사사업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컨소시엄내 지분비율은 석유공사 55%, 경남기업 20%, SK가스 15%, 대성산업 10% 등으로 구성됐다.
러시아 캄차카 육상광구 석유탐사사업의 탐사비는 650만달러 정도로 매장량은 탐사 성공시 약 2억5000만배럴에 달하는 유망구조가 10여개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석유공사가 2010년 10월 사업을 철회했다. 2008년 7월 연장허가를 받지 못해 탐사권을 잃었지만 이후 파트너를 가스프롬으로 교체하면서 사업을 재추진했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철회하면서다.
석유공사는 이 과정에서 서캄차카 광구를 철수할 당시 3000억원 상당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경남기업 임직원과 석유공사 관계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사업 투자 경위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경남기업은 MB정권 시절 다양한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해 잡음이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검찰의 수사 확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시민일보=민장홍 기자]이명박(MB) 정부 시절 특혜 논란으로 불거진 자원외교 비리에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됐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18일 자원개발 비리 의혹과 관련해 경남기업과 한국석유공사 등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8시께 경남기업 본사(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한국석유공사(울산), 경남기업 주요 임직원 자택 등에 수사팀을 보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장부, 내부 서류 등을 확보했다.
또한 검찰은 제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내 친이계로 알려진 성완종 회장(64)을 포함한 핵심 경영진을 출국금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경남기업은 2006년 석유공사와 컨소시엄 형태로 러시아 캄차카반도의 티길(Tigil) 및 이차(Icha) 등 2개 육상광구 탐사사업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컨소시엄내 지분비율은 석유공사 55%, 경남기업 20%, SK가스 15%, 대성산업 10% 등으로 구성됐다.
러시아 캄차카 육상광구 석유탐사사업의 탐사비는 650만달러 정도로 매장량은 탐사 성공시 약 2억5000만배럴에 달하는 유망구조가 10여개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석유공사가 2010년 10월 사업을 철회했다. 2008년 7월 연장허가를 받지 못해 탐사권을 잃었지만 이후 파트너를 가스프롬으로 교체하면서 사업을 재추진했지만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철회하면서다.
석유공사는 이 과정에서 서캄차카 광구를 철수할 당시 3000억원 상당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경남기업 임직원과 석유공사 관계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사업 투자 경위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경남기업은 MB정권 시절 다양한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해 잡음이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검찰의 수사 확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