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현지혜 기자]K11 복합형소총 사격통제장치 납품업체 임·직원들이 충격시험검사 방법을 조작해 수억원을 가로챈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은(단장 김기동 검사장) K11복합형소총 '사격통제장치' 납품 업체 A사의 이 모 사업본부장(51)과 장 모 제품기술팀 차장(43), 박 모 품질경영팀 과장(37) 등 3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12일 밝혔다.
합수단에 따르면 이들은 2010년 6월부터 11월까지 K11 복합형소총 '사격통제장치'의 충격시험검사를 진행하면서 충격량을 3분의 1로 축소하는 수법으로 품질검사를 통과한 후 250대를 납품해 5억400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합수단 조사 결과 이들은 시험검사하는 과정에서 충격시험검사 장비를 바꿔치기하는 수법으로 규정된 충격량의 3분의 1만 주는 방법으로 국방기술품질원의 품질검사를 통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육군은 오는 2018년까지 4485억원을 투입해 K11 복합형소총 1만5000정을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A사가 납품한 사격통제장치에서 균열 등 결함이 발생하면서 전력화에 차질을 빚고 있는 상태다.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은(단장 김기동 검사장) K11복합형소총 '사격통제장치' 납품 업체 A사의 이 모 사업본부장(51)과 장 모 제품기술팀 차장(43), 박 모 품질경영팀 과장(37) 등 3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12일 밝혔다.
합수단에 따르면 이들은 2010년 6월부터 11월까지 K11 복합형소총 '사격통제장치'의 충격시험검사를 진행하면서 충격량을 3분의 1로 축소하는 수법으로 품질검사를 통과한 후 250대를 납품해 5억400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합수단 조사 결과 이들은 시험검사하는 과정에서 충격시험검사 장비를 바꿔치기하는 수법으로 규정된 충격량의 3분의 1만 주는 방법으로 국방기술품질원의 품질검사를 통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육군은 오는 2018년까지 4485억원을 투입해 K11 복합형소총 1만5000정을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A사가 납품한 사격통제장치에서 균열 등 결함이 발생하면서 전력화에 차질을 빚고 있는 상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