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봉균 |
삶을 살아가면서 좋은 감정만 가지고 살아 갈수는 없을 것이다. 남을 칭찬하고 존경하는 마음을 갖는 시간이 있으면 반대로 시기하며 미워하고 저주하는 마음을 갖는 시간도 있다.
인간으로서의 삶은 하나의 인격체로서 오만가지 감정을 느끼고 분출하는 시간들이라고 생각한다.
그중 현대인의 삶속에서 일면식도 없는 남을 가장 많이 미워하고 저주하는 때가 차량을 몰고 도로에 나와 운전을 하는 시간이 아닌가 싶다.
만약, 남을 미워하거나 마음속으로 라도 욕설을 많이 하면 천벌(天罰)을 받게 된다 라고 가정한다면, 아마도 모든 사람들은 천벌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운전이라는 행위를 끊어야 만 할 것이다.
우리가 차량을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의 장소를 향해 이동할 때 개개인의 운전경력과 운전 실력차이에 따라 도착 소요시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큰 틀에서 본다면 운전은 여러 차선 중 자신이 속한 차선에서 줄을 서 차례대로 순서를 지키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과 같다.
때문에 타인에게 불편을 끼치고 순서를 지키지 않아 상대방에게 분노의 감정을 유발케 하는 얌체 운전자들이야 말로 태도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좀 더 빨리 가기위해 차선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피 하지만 교통법규 위반이 아닌, 단순 ‘끼어들기’라 할지라도 끼어드는 것을 당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부당하게 자신의 앞을 끼어드는 ‘새치기’일 수도 있는 것이다.
운전중 ‘전후좌우’ 차량 운전자에 대한 배려 없는 무리한 끼어들기로 인해 깜짝 놀라게 되거나, 차량 운행에 방해를 받아본 불쾌한 경험은 운전을 해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있을 것이다. 그때의 기분은 여러 시간을 기다린 배식구 앞에서 내가 받아야만 하는 하나 남은 빵을 방금 도착한 얌체의 새치기에 빼앗긴 것과 같은 느낌이었을 것이다.
요즘 우리 사회에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보복운전’은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운전습관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이다.
운전을 하다보면 부득이하게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 할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도 최소가 될 수 있도록 서로가 노력해야 하며 우리가 사용하는 도로를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도로교통법상의 교통법규를 정확히 지키려 노력해야 하며, 남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운전 하는 습관을 길러 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