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수단, '400억대 육군 무인정찰기 도입 비리' 본격 수사 착수

    사건/사고 / 여영준 기자 / 2015-08-17 17:58:31
    • 카카오톡 보내기
    '비리 연루' 육군 대령 소환 조사

    [시민일보=여영준 기자]400억원대 육군 무인정찰기 도입 비리 의혹에 대해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ㆍ이하 합수단)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합수단은 이 사건과 관련, 최근 육군 현역 송 모 대령(55ㆍ별건 구속 기소)과 일광공영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했다고 17일 밝혔다.

    합수단은 최근 이규태 일광공영 회장(65ㆍ구속기소)이 중개한 무인정찰기 도입 비리를 수사하다가 군 내부 기밀을 빼돌리는데 송 대령이 개입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은 지난해 12월 400억여원을 들여 이스라엘 IAI사의 무인정찰기 '헤론'을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당시 이 회장은 IAI사의 국내 에이전트로 계약을 중개했다.

    헤론은 고도 10㎞ 상공에서 지상 표적을 정찰하는 중(中)고도 무인정찰기다. 백령도·연평도 등 북 도서와 서해 북방한계선(NLL) 등에서 북한의 도발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헤론은 최대 52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으며, 전자 광학 카메라와 레이더가 장착돼 있어 지상 표적을 정밀 감시할 수 있다. 길이 8.5m, 폭 16.6m, 최대 시속 207㎞에 달한다. 올해 말까지 3~4대가 도입될 예정이다.

    합수단은 도입 기종 결정 수개월 전에 이 회장이 방위사업청장에게 보낸 투서에 무기정찰기 사업과 관련한 군 내부 기밀이 들어있었던 사실을 포착하고 군 내부 관계자가 개입한 정황을 살펴왔다.

    합수단은 송 대령이 여기에 개입한 사실을 확인하고 송 대령을 상대로 군 내부 기밀이 유출된 경위와 대가성 금품을 받았는지 등을 집중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대령 외에 다른 군 관계자들이 개입한 정황도 살펴보고 있다.

    앞서 송 대령은 방위산업체 취업 청탁을 대가로 전·현직 군인들에게 뒷돈을 받은 혐의로 군 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이 회장은 공군 전자전훈련장비(EWTS) 도입을 중개하면서 핵심 장비를 국산화하는 명목으로 비용을 부풀려 1100억원대 사기를 벌인 혐의로 구속돼 재판을 받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