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해남 선적 낚시어선 돌고래호(9.77t) 전복 사고 사흘째인 7일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기상 상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중앙해양특수구조대 9명, 특공대 10명, 122구조대 6명 등을 투입해 수중수색을 하고 있다.
해경 함정 25척, 해군 함정 7척, 관공선 3척, 어업지도선 1척, 민간 어선 37척 그리고 항공기 5대 등도 동원했다.
표류예측시스템 결과를 토대로 돌고래호가 발견된 해점과 사고 추정해점 주변을 3선으로 설정해 1선은 소형정, 2선 중형함정, 3선 대형함정으로 나눠 배치해 수색하고 있다.
또 일부 사망자가 해안가 부근에서 발견, 추자안전센터를 중심으로 해군, 육경, 소방, 추자면사무소 공무원 등을 동원해 해안가도 수색한다.
추자 해상은 풍랑특보가 내려진 건 아니지만 물결이 최대 3m로 높은 편이다.
추자 해상은 이날 오전 파도 2~3m로 일고 북풍 또는 북동풍이 초속 10~14m로 불고 있고 8일까지 이 날씨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해경본부 과학수사대는 추자도 청도 갯바위에 결박된 돌고래호 내부를 수중촬영하고 돌고래호가에 불법 개축이 있었는 지 선박 검사 서류도 검토할 예정이다. 생존자를 상대로 한 사고 경위도 조사한다.
해경은 출항 신고 시 제출된 승선원 명부에는 22명이 기재돼있지만, 이 가운데 4명은 실제로 타지 않았고 명단에 없는 3명이 타 총 21명이 승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10명이 숨진 채 발견됐고 3명은 구조돼 저체온증으로 제주한라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 6일 낮 12시47분 추자 우두도 서방 0.8㎞ 해상에서 10번째 시신이 발견된 뒤 아직까지 추가로 찾은 실종자는 없다.
지난 5일 오후 7시~7시25분 사이 추자도 신양항을 출발해 오후 10시 전남 해남군 북평면 남성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던 돌고래호는 오후 7시39분께 추자 예초리에서 500m 정도 떨어진 해상에서 마지막으로 위치가 확인된 후 연락이 끊겼다.
돌고래호와 같은 시간에 출항한 돌고래1호 선장이 오후 7시50분 기상 악화로 회항하며 돌고래호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자 오후 8시40분께 해경 추자안전센터에 신고했고 추자안전센터는 오후 9시3분께 해경 상황실에 보고했다.
통신이 끊긴 지 약 11시간만인 6일 오전 6시25분께 추자도 섬생이섬 남쪽 1.1㎞ 해상에서 인근을 항해하던 어선 H호가 뒤집힌 돌고래호를 발견했다.
제주해양경비안전본부에 따르면 이날 중앙해양특수구조대 9명, 특공대 10명, 122구조대 6명 등을 투입해 수중수색을 하고 있다.
해경 함정 25척, 해군 함정 7척, 관공선 3척, 어업지도선 1척, 민간 어선 37척 그리고 항공기 5대 등도 동원했다.
표류예측시스템 결과를 토대로 돌고래호가 발견된 해점과 사고 추정해점 주변을 3선으로 설정해 1선은 소형정, 2선 중형함정, 3선 대형함정으로 나눠 배치해 수색하고 있다.
또 일부 사망자가 해안가 부근에서 발견, 추자안전센터를 중심으로 해군, 육경, 소방, 추자면사무소 공무원 등을 동원해 해안가도 수색한다.
추자 해상은 풍랑특보가 내려진 건 아니지만 물결이 최대 3m로 높은 편이다.
추자 해상은 이날 오전 파도 2~3m로 일고 북풍 또는 북동풍이 초속 10~14m로 불고 있고 8일까지 이 날씨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해경본부 과학수사대는 추자도 청도 갯바위에 결박된 돌고래호 내부를 수중촬영하고 돌고래호가에 불법 개축이 있었는 지 선박 검사 서류도 검토할 예정이다. 생존자를 상대로 한 사고 경위도 조사한다.
해경은 출항 신고 시 제출된 승선원 명부에는 22명이 기재돼있지만, 이 가운데 4명은 실제로 타지 않았고 명단에 없는 3명이 타 총 21명이 승선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10명이 숨진 채 발견됐고 3명은 구조돼 저체온증으로 제주한라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 6일 낮 12시47분 추자 우두도 서방 0.8㎞ 해상에서 10번째 시신이 발견된 뒤 아직까지 추가로 찾은 실종자는 없다.
지난 5일 오후 7시~7시25분 사이 추자도 신양항을 출발해 오후 10시 전남 해남군 북평면 남성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던 돌고래호는 오후 7시39분께 추자 예초리에서 500m 정도 떨어진 해상에서 마지막으로 위치가 확인된 후 연락이 끊겼다.
돌고래호와 같은 시간에 출항한 돌고래1호 선장이 오후 7시50분 기상 악화로 회항하며 돌고래호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자 오후 8시40분께 해경 추자안전센터에 신고했고 추자안전센터는 오후 9시3분께 해경 상황실에 보고했다.
통신이 끊긴 지 약 11시간만인 6일 오전 6시25분께 추자도 섬생이섬 남쪽 1.1㎞ 해상에서 인근을 항해하던 어선 H호가 뒤집힌 돌고래호를 발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