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최근 4년간 야생버섯을 잘못 먹어 중독된 사람은 74명, 이중 6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청 등 자료에 따르면 야생버섯 중독사고는 2012년에 32명(4명 사망)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매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013년 12명(2명 사망), 2014년 10명, 그리고 올해 현재까지 총 20명의 중독환자가 발생했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같은 정보를 공개하고 야생버섯 섭취를 가급적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야외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사진으로 식용과 독버섯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인터넷에 잘못된 정보들이 많다고 식약처는 지적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흔히 알고있는 잘못된 상식들은 ▲독버섯은 세로로 찢어지지 않는다 ▲독버섯은 요리 시 은수저가 변색된다 ▲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은 식용이다 ▲곤충이나 벌레먹은 흔적이 있으면 식용이다 등이다.
또한, 가열하거나 기름에 넣고 볶으면 독성이 없어진다고 믿는 경우가 있는데 독버섯의 독소는 가열·조리로 파괴되지 않는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특히, 산림청 등 자료에 따르면 야생버섯 중독사고는 2012년에 32명(4명 사망)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매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013년 12명(2명 사망), 2014년 10명, 그리고 올해 현재까지 총 20명의 중독환자가 발생했다.
2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같은 정보를 공개하고 야생버섯 섭취를 가급적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야외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사진으로 식용과 독버섯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인터넷에 잘못된 정보들이 많다고 식약처는 지적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흔히 알고있는 잘못된 상식들은 ▲독버섯은 세로로 찢어지지 않는다 ▲독버섯은 요리 시 은수저가 변색된다 ▲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은 식용이다 ▲곤충이나 벌레먹은 흔적이 있으면 식용이다 등이다.
또한, 가열하거나 기름에 넣고 볶으면 독성이 없어진다고 믿는 경우가 있는데 독버섯의 독소는 가열·조리로 파괴되지 않는다고 식약처는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