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인천서 중앙연안사고예방協 회의 개최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올해(10월까지) 1036건의 연안사고가 발생해 총 128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발생한 연안사고는 총 1036건으로 최근 3년(2011~2013년)간 평균 1015건에 비해 2% 정도 늘었다.
그러나 사망인원은 128명으로 3년 평균(185명)치보다 3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안사고는 선박사고를 제외한 연근해와 해안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를 두루 포함한다.
본부별 연안사고 발생 증감율을 보면 중부해양경비안전본부가 262건에서 404건으로 54.2%나 증가했다. 제주해경본부 역시 87건에서 116건으로 33% 가량 늘었다.
반면 남해해경본부(267건→195건)와 동해해경본부(246건→181건), 서해해경본부(153건→140건)는 각각 27.0%, 26.4%, 8.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사고 사망자가 올 들어 많이 나온 해역은 서해해경본부 관할로 45명이 목숨을 잃었다. 남해해경본부(28명), 동해해경본부(24명), 중부해경본부(21명), 제주해경본부(10명)가 그 뒤를 이었다.
그간 안전규제를 어겨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연안사고 예방법)'에 따라 처벌받은 사례는 없다.
2년전 고교생 5명의 목숨을 앗아 간 '태안 해병대 사설캠프' 사고이후 제정된 연안사고 예방법이 지난 6월부터 시행됐는데도 관련업계 반발로 하위법령 개정이 늦어지면서 법 적용을 4개월간 유예키로 한 탓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11월부터는 안전 규정 미준수에 대해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단속 또는 처벌 건수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안전처는 오는 1일 인천 송도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제2회 중앙연안사고예방협의회 회의'를 열고 이같은 연안 안전관리 추진성과에 대해 점검한다. 연안사고 예방법에 따른 연안해역 안전관리 정책 방향도 협의할 예정이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올해(10월까지) 1036건의 연안사고가 발생해 총 128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발생한 연안사고는 총 1036건으로 최근 3년(2011~2013년)간 평균 1015건에 비해 2% 정도 늘었다.
그러나 사망인원은 128명으로 3년 평균(185명)치보다 3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안사고는 선박사고를 제외한 연근해와 해안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를 두루 포함한다.
본부별 연안사고 발생 증감율을 보면 중부해양경비안전본부가 262건에서 404건으로 54.2%나 증가했다. 제주해경본부 역시 87건에서 116건으로 33% 가량 늘었다.
반면 남해해경본부(267건→195건)와 동해해경본부(246건→181건), 서해해경본부(153건→140건)는 각각 27.0%, 26.4%, 8.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사고 사망자가 올 들어 많이 나온 해역은 서해해경본부 관할로 45명이 목숨을 잃었다. 남해해경본부(28명), 동해해경본부(24명), 중부해경본부(21명), 제주해경본부(10명)가 그 뒤를 이었다.
그간 안전규제를 어겨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연안사고 예방법)'에 따라 처벌받은 사례는 없다.
2년전 고교생 5명의 목숨을 앗아 간 '태안 해병대 사설캠프' 사고이후 제정된 연안사고 예방법이 지난 6월부터 시행됐는데도 관련업계 반발로 하위법령 개정이 늦어지면서 법 적용을 4개월간 유예키로 한 탓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11월부터는 안전 규정 미준수에 대해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단속 또는 처벌 건수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안전처는 오는 1일 인천 송도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제2회 중앙연안사고예방협의회 회의'를 열고 이같은 연안 안전관리 추진성과에 대해 점검한다. 연안사고 예방법에 따른 연안해역 안전관리 정책 방향도 협의할 예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