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국내서식 병원체바이러스 연구·모니터링 추진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최근 뎅기열 유입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보건당국이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시 모기기피제 사용 등 감염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나섰다.
올해 1~2월 기준 해외에서 뎅기열에 감염돼 국내로 들어온 환자는 전년 같은 기간 19명에서 260% 증가한 69명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뎅기열은 주로 적도를 기준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국가에서 풍토적으로 발생하나, 최근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 등에서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뎅기열 유입환자도 급증했다. 질본은 실제 유입 환자의 대부분이 동남아시아 지역 방문 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현재 질본은 뎅기열 국내 유입 및 토착화 방지를 위해 ▲국내 서식하는 모기 및 병원체 바이러스 연구 및 모니터링 ▲모기방제 가이드라인 제공 및 교육 등 모기 방제활동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질본은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 시 반드시 모기장 및 모기 기피제 사용 등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뎅기열 의심 증상(발열, 두통, 오한 등)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 받을 것을 당부했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최근 뎅기열 유입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보건당국이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시 모기기피제 사용 등 감염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나섰다.
올해 1~2월 기준 해외에서 뎅기열에 감염돼 국내로 들어온 환자는 전년 같은 기간 19명에서 260% 증가한 69명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뎅기열은 주로 적도를 기준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 국가에서 풍토적으로 발생하나, 최근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 등에서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뎅기열 유입환자도 급증했다. 질본은 실제 유입 환자의 대부분이 동남아시아 지역 방문 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현재 질본은 뎅기열 국내 유입 및 토착화 방지를 위해 ▲국내 서식하는 모기 및 병원체 바이러스 연구 및 모니터링 ▲모기방제 가이드라인 제공 및 교육 등 모기 방제활동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질본은 뎅기열 발생국가 여행 시 반드시 모기장 및 모기 기피제 사용 등 감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뎅기열 의심 증상(발열, 두통, 오한 등)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 받을 것을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